▲ 강화~교동 구간(왼쪽)과 서검~석모구간 조감도.
인천시가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 건설사업에 직접 뛰어들기로 했다.

시는 이미 강화군, 한국중부발전, 대우건설컨소시엄 등과 강화조력발전 공동개발사업 양해각서 체결식까지 마쳤다. 그러나 이 조력발전 계획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조력발전은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은 물론 남북 해양 뱃길을 막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어찌됐든 조력발전소를 건설 해야한다는 얘기와 사업을 추진해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맞닥뜨리면서 강화와 조력발전 개념이 다시한번 주목을 받고 있다.

강화에 조력발전소를 만들겠다는 구상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100여년에 이미 나왔던 얘기다.

일제는 1912년 인천항을 중심으로 수십 리의 해안을 탐사해 조력발전의 가능성을 조사했다고 한다. 특히 조선총독부는 강화도 동남부에 위치한 소구역에서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조력발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강화도 부근이 발전 잠재력이 뛰어나다는 결론까지 내렸다고 한다. 이러한 일제의 강화 조력발전소 건설 계획은 매일신보 등 당시 신문에 대서특필되기도 했다.

그만큼 관심이 컸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 계획은 실행 단계로 옮겨지지 못하고 폐기됐다.

이 강화 조력발전 사업을 다시 추진하는 인천시는 강화도, 교동도, 서검도, 석모도를 방조제로 연결하고 여기에 수차발전기 32기를 설치하는 강화조력발전소가 완공되면 연간 1천536GWh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판단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1조7천771억원으로 예상된다. 시는 여러 사전절차를 거쳐 2010년 본공사에 착수, 2015년부터 상업운전을 한다는 목표다. 이는 인천시 연간 총 전력 사용량의 8.4%에 해당하고, 인천의 93만 세대 중 43%인 40만 세대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시는 또 연간 유류 대체효과가 중유 32만(516억원)에 달하고, 연간 123억원의 이산화탄소 배출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세계기후변화협약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대상이 된다고 한다.

발전 용량은 812㎿로 그동안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하던 프랑스의 랑스 조력발전소(240㎿)의 용량을 크게 넘어선다.

시는 또 여기에 조력발전 테마파크를 건설하고, 해양 레포츠 산업을 유치해 이 발전소를 관광자원화한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등 지역의 몇몇 시민단체는 이 계획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4개의 인공방조제를 통한 조력발전소 건설 계획은 매우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안해양생태계에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조류에너지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또 남북 해양교류의 길목인 이 곳에 조력발전소를 짓는다면 뱃길 확보에 장애가 된다고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시는 그러나 해양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대형 선박이 남북을 오가는 뱃길에도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일제가 추진하다 실행에 옮기지 못한 강화조력발전 계획이 현실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 석모~강화구간 조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