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하구 습지 및 수변구역 생태자원 복원과 지속적 이용을 위한 경기도 차원의 체계적 관리계획의 수립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정책연구부 박은진 책임연구원은 23일 '한강하구 습지 및 수변 생태자원에 관한 연구' 위탁과제 보고서를 통해 "파주와 김포, 고양에 걸친 한강하구는 남북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따른 철조망 등의 접근 제한으로 자연상태가 비교적 잘 간직된 기수역 생태계"라고 밝혔다.
한강하구 관련 연구를 (주)환경바이오와 함께 주관한 박 연구원은 현지조사 등을 통해 "한강하구 습지와 수역에는 재두루미와 저어새, 개리 등 식물 166종과 27변종, 조류 152종, 포유류 13종 등 모두 428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한강 하구의 다양한 생물상을 유지하고 국제적 멸종위기종을 보전키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한강하구 습지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복원을 위해 우선, 수변 습지의 육화 방지 및 세모고랭이와 같은 기수성 먹이식물 서식처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물골을 터주는 등 습지생태계의 수문특성을 유지할 것을 제안했다.
또 관광자원 가치가 있는 장항, 산남, 시암리 습지의 갈대군락은 조류의 서식과 고유 식물상 유지를 위해 과다한 번식을 막는 등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고, 외래종인 붉은귀거북의 구제방안이나 멸종위기종인 삵, 구렁이 서식처 보호 및 이동로를 확보해 주기 위해 한강하구 생태자원의 이동로 및 분포상황에 대한 정밀조사가 수반돼야한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결론으로 한강하구의 동식물 생태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한강하구 습지 생태계의 통합적 이해 및 지속적 모니터링 ▲지자체와 환경NGO,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한 정책수립 ▲도와 해당 지자체간 사업계획 수립부터 승인에 이르기까지의 지속가능한 사업 수립 등의 과제를 이른 시일내에 해결할 것을 주문했다.
"한강하구 생태복원 道가 나서야"
다양한 생물상 유지·국제 멸종위기종 보전 대책 시급… 지속적 모니터링·정책수립 주문…
입력 2008-07-23 21: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8-07-24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