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하구 습지 및 수변구역 생태자원 복원과 지속적 이용을 위한 경기도 차원의 체계적 관리계획의 수립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정책연구부 박은진 책임연구원은 23일 '한강하구 습지 및 수변 생태자원에 관한 연구' 위탁과제 보고서를 통해 "파주와 김포, 고양에 걸친 한강하구는 남북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따른 철조망 등의 접근 제한으로 자연상태가 비교적 잘 간직된 기수역 생태계"라고 밝혔다.

한강하구 관련 연구를 (주)환경바이오와 함께 주관한 박 연구원은 현지조사 등을 통해 "한강하구 습지와 수역에는 재두루미와 저어새, 개리 등 식물 166종과 27변종, 조류 152종, 포유류 13종 등 모두 428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한강 하구의 다양한 생물상을 유지하고 국제적 멸종위기종을 보전키 위한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한강하구 습지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활용과 복원을 위해 우선, 수변 습지의 육화 방지 및 세모고랭이와 같은 기수성 먹이식물 서식처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물골을 터주는 등 습지생태계의 수문특성을 유지할 것을 제안했다.

또 관광자원 가치가 있는 장항, 산남, 시암리 습지의 갈대군락은 조류의 서식과 고유 식물상 유지를 위해 과다한 번식을 막는 등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고, 외래종인 붉은귀거북의 구제방안이나 멸종위기종인 삵, 구렁이 서식처 보호 및 이동로를 확보해 주기 위해 한강하구 생태자원의 이동로 및 분포상황에 대한 정밀조사가 수반돼야한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원은 결론으로 한강하구의 동식물 생태자원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한강하구 습지 생태계의 통합적 이해 및 지속적 모니터링 ▲지자체와 환경NGO,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한 정책수립 ▲도와 해당 지자체간 사업계획 수립부터 승인에 이르기까지의 지속가능한 사업 수립 등의 과제를 이른 시일내에 해결할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