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찬반논란 '수면 위' 국토해양부가 지난 2003년 이후 중단됐던 경인운하사업의 재추진 계획을 밝힌 이후 인천, 경기, 서울 등 경인운하사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치단체들이 경인운하 조기 추진을 위한 공조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사진은 경인운하 예정지인 굴포천 방수로).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국토해양부가 지난 2일 경인운하 사업을 추진할 방침임을 공식적으로 밝힌 이후 인천, 경기, 서울 등 경인운하사업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자치단체들 사이에서 경인운하 조기 추진을 위한 공조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와 맞물려 경인운하 사업에 반대하는 환경단체들도 연대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어 경인운하 사업이 수도권 최대의 공동 이슈 중 하나로 부각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지난 5일 민주당 인천시당 초청 시정설명회 자리에서 "서울시·경기도와 함께 경인운하 조기 추진을 위한 건의문을 정부에 내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인운하사업 중단으로 인해 검단신도시 연결다리도 건설하지 못하고 지역 주민들도 불편을 겪는 마당에 경인운하 건설을 더이상 미룰 수 없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고 있으나 이미 국토해양부의 경인운하사업 재개 방침에 환영의 뜻을 밝힌 바 있어 이들 자치단체 간의 공조움직임은 조만간 가시화할 전망이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최근 "경인운하는 지난 60년 동안 남북분단으로 막혀 있던 한강에서 서해안으로 가는 물길을 다시 여는 역사적 사업"이라며 "이를 통해 경인운하가 동북아는 물론 세계로 나가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인운하사업은 서울 강서구 개화동에서 인천 서구 시천동을 거쳐 서해로 접어드는 길이 18㎞, 폭 80m의 대수로 공사로 경기도에서는 김포·부천·고양시 등이 경인운하사업 구간에 속해 있다.

서울시도 경인운하가 2006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인천시 및 경기도와 보조를 맞추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

서울시의 경우, 한강 용산역세권 개발과 관련해 워터프런트(Waterfront) 조성을 구상중으로, 배가 오가는 항로로서 경인운하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는 달리 수도권 지역의 환경단체들은 수질 오염 등 환경 문제와 경제성 등을 들어 정부의 방침에 대해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어 경인운하 건설을 둘러싼 찬·반 논란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가톨릭환경연대 등 인천지역 32개 환경·시민단체를 비롯, 환경운동연합, 녹색연합 등 중앙 단위 환경단체, 김포·고양·부천 등 경기도지역 환경단체 등은 9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경인운하 재추진 규탄 및 백지화를 위한 합동 기자회견'을 갖는다.

경인운하 사업 재개를 둘러싸고 이처럼 지방자치단체와 환경단체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같은날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는 '경인운하 어떻게 할 것인가?'란 주제로 국토해양부의 발표 이후 처음으로 토론회가 열릴 예정이어서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