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정진오·김명래기자]인천교통공사의 월미은하레일(모노레일), 인천관광공사의 월미케이블카, 서부공원사업소의 청사와 성곽, 인천항만공사의 친수공간, 민간사업자의 유원지와 관광호텔.

월미도에서 진행되거나 추진중인 굵직한 토목사업과 그 추진 주체다. 인천관광공사가 추진중인 월미케이블카 사업과 인천교통공사가 시험운행중인 월미은하레일 사업은 큰 틀에서 중복된다고 할 수 있다. 둘 다 바다를 낀 월미도의 조망권을 이용해 관광객을 끌어들이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케이블카에서 볼 수 있는 낙조 등 여러 즐길거리의 상당부분을 모노레일이 빼앗게 생겼다. 모노레일이 케이블카가 오르내릴 월미산 앞 해안도로 5m 높이를 달리게 돼있는 것이다. 케이블카 사업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대목이다.

두 사업 모두 이뤄진다고 해도 문제다. 교통공사는 모노레일이 개통하면 연간 200만명의 이용객을 예상하고 있다. 관광공사는 케이블카 이용객을 40만명 정도로 전망한다. 여기에 유원지 증설, 친수공간 조성, 해양과학관 신축 사업 등의 사업주체들이 내다보는 예상관광객까지 합하면 가히 월미도는 '인산인해'를 이룰 것이다. 이럴 경우 그 사람들을 모두 감당할 수 있을까. 주차문제 등 교통난 해소책도 뚜렷한 게 없다.

월미도 난개발의 직접적인 원인은 월미도과 관련한 전반적인 업무를 통괄하는 '컨트롤 타워'가 없기 때문이란 게 행정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인천시의 공원·항만·관광 부서에서 각기 다른 사업을 하고 중구청은 중구청대로 사업을 한다. 이런 상황에 공기업까지 끼어들고 있다. '조정자'가 없는 형국이다.

한 전직 인천시 공무원은 "지휘자 없는 오케스트라가 제대로 연주할 턱이 있느냐"면서 "컨트롤 타워가 없는 행정은 자칫 업자들의 손에 놀아나기 쉽다"고 꼬집었다.

시민사회의 귀를 막는 인천시의 행정이 결국은 화를 부르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전쟁 이후 줄곧 군부대의 주둔지였던 월미산을 2001년 시민 품에 되돌리는데 성공한 시민운동단체는 2002년부터 '월미도 난개발 저지 운동'을 펼쳤다. 인천시가 금세 월미산에 여러 토목공사를 계획했던 것이다. 월미산 꼭대기에 만들려던 조류 전광판도 이 때문에 해안가에 세우게 되는 등 성과도 있었다. 하지만 이들 시민단체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않은 인천시는 각종 개발계획을 수립했고, 결국 실행에 옮긴 것이다.

이희환 도시환경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인천시민 상당수가 '인천의 관광 메카'로 생각하는 월미도를 난개발에서 구해내는 방법은 없는지 우리 모두가 머리를 맞대야 할때"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