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광명/이귀덕기자]경찰과 KT의 무관심 등으로 전국 101개지역 530여만명이 112 등 유선전화 신고시, 신속한 접수·처리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긴급을 요하는 112 신고 등의 접수·처리가 늦어지면 그만큼 시민들의 귀중한 생명이나 재산 피해를 위협받을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29일 황영선 광명경찰서 생활안전과장 등에 따르면 경찰 관할지역과 지역전화번호권이 서로 다른 전국 101개지역(지난 4월말 현재 인구는 537만6천여명)에서 112 등 긴급전화 신고시 신속한 접수체계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중 한 곳인 광명지역의 경우 치안은 광명경찰서에서 담당하고 있으나 서울번호권(02)을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일반 또는 공중전화로 112 신고시 광명경찰서로 곧바로 접수되지 않고 있다.

대신 서울지방경찰청 112통합지령실로 접수된 후 광명경찰서로 전환·처리되면서 112순찰차나 경찰의 현장출동이 평균 1분이상 늦어지고 있다.

이와함께 신고전화를 해당 경찰서로 연계해 주는 과정에서 112지령시스템의 차이로 신고자의 전화번호와 위치 정보가 유실될 수밖에 없어서 신속한 접수·처리가 더욱 지연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기도의 경우는 과천·부천·시흥·하남 등 28개지역(전부 또는 일부)이 해당되고, 인천시는 옹진군 1곳이 해당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황 과장은 "지난 3월에 112 등 긴급전화의 접수·처리 지연에 대한 개선 방안을 KT에 제시하고 정비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한 뒤 "지난 10월에는 KT 회장에게 직접 이메일로 또다시 개선책 마련을 요청했고, 이달초에서야 이에 대한 개선사업 일정에 대해 통보받았다"며 "국민들의 귀중한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하루빨리 이 작업이 마무리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KT는 황 과장에게 보낸 회신에서 '전국 행정구역과 지역번호권(수용국) 불일치 지역에 대한 관련시스템 및 교환기 개선작업(112·113·119등 6개 긴급번호)을 오는 2010년 6월말까지 끝낼 계획'이라고 밝혀 2010년 7월에서야 112등 긴급전화 접수·처리 지연으로 인한 불편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