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국제 사회의 소수자라고 할 수 있는 난민은 인천은 물론, 국내사회에서 여전히 사회적으로 냉대를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천 부평에 살며 9개월 가량 난민인정 심사를 기다리고 있는 파키스탄인 아잠 루카이야(24·여·이하 아잠)씨는 "한국은 다문화 사회를 이해해 주는 선진국이라고 생각했지만, 파키스탄과 별반 다를 바 없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파키스탄 정부군에서 일을 했던 시아버지 때문에 탈레반 측으로부터 생존의 위협을 느껴 지난 2007년 겨울, 국내로 피신한 그는 한국과 관련된 사업을 하던 남편(35) 덕에 인천에 오게 됐다.
하지만 '파키스탄 보다 안전한 국가'로 생각했던 한국에서 그를 기다리는 것은 사회적인 편견과 경제적 어려움이었다.
비자기간이 끝난 남편은 지난해 불법체류자 신분이 돼 현재 경기지역의 한 보호소에 갇혀있는 상황.
두 살난 딸 리나를 위해 이곳 저곳 일자리를 알아봤지만, 한국어를 못하고 어린 아기를 돌봐야 하는 그를 받아주는 곳은 없었다.
최근엔 리나에게 먹일 분유를 살 돈이 없어 배고파 보채는 아이에게 물을 먹일 수밖에 없었다.
아잠씨는 현재 민간 지원단체의 도움을 간헐적으로 받으며 어려운 삶을 유지하고 있다.
난민인권센터에 따르면 자신이 살고 있던 국가에서의 위협을 피해 국내로 들어와 난민심사를 기다리고 있는 사람들은 320여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인천, 경기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은 60%를 넘는다고 센터측은 설명했다.
하지만 난민 신청 후 보통 2년에서 길게는 5년 가량인 심사기간 동안 이들은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인권 사각지대에 방치된다고 센터 관계자는 설명했다.
법무부는 지난해부터 이들의 취업활동을 인정해 주고 인력을 확대해 심사기간을 줄이는 등 난민지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아잠씨 같은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
이 같은 상황에서 난민을 대하는 지자체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난민단체 관계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김성인 난민인권센터 사무국장은 "지자체에서 보건소를 통해 난민신청자 자녀에 대한 예방접종이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해 최소한의 의료지원이라도 받을 수 있게한 경우가 최근 있었다"며 "복지 차원에서 민간 지원단체와 연계해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등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지면 지자체의 재량권 안에서 할 수 있는 일들을 충분히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