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증명하듯 인천종합어시장과 연안부두 공판장 일대에서 만나는 어민들과 중매인, 소매상인의 얼굴엔 화색이 돈다.
하지만 어시장을 찾는 손님들의 표정은 시큰둥하다.
평소보다 저렴한 가격에 꽃게를 즐길 수 있지 않을까하는 기대로 큰맘 먹고 어시장을 찾은 손님들은 생각보다 높은 가격을 보고는 실망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어시장 상인들은 비싸다며 불평하는 손님들과 하루에도 몇번씩 가격으로 인한 실랑이를 벌여야 한다.
날마다 변하는 꽃게 가격과 유통 구조를 정확히 알지 못하는 일반 소비자가 기대하는 가격과 현장에서 실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가격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꽃게가 인천을 대표하는 수산물로 자리잡아 가고 있지만 일반 소비자에겐 아직 쉽게 접하기 어려운 존재다.
인천시는 앞으로 꽃게를 명품으로 만들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중에 있다.
하지만 먼훗날을 준비하기에 앞서 지금 당장 쉽게 개선할 수 있는 부분부터 해결해 나가려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먼저 일일 도매가격과 소매가격 등의 간단한 정보부터 인터넷 홈페이지나 어시장의 게시판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미리 알리려는 노력 등이 필요하다.
어렵지 않은 작은 노력으로도 손님들이 가격때문에 겪는 불편함과 실랑이는 크게 줄어들거라는 생각이다. 정당하게 제값을 내고 지불한 만큼의 상품가치를 누리려 하는 게 소비자의 당연한 마음이다. 손님과 소비자가 현장에서 느끼는 가격 차이에서 빚어지는 숨바꼭질이 이른 시일내 사라졌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