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포/박현수기자]김포지하철 건설비용이 당초 시에서 예상한 1조7천800여억원보다 5천억원 이상 늘어난 2조3천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추산됐다. 서울시 등 관련기관과의 협의과정에서 추가되는 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협의에서 서울시는 6량으로 설계된 김포의 역사규모를 9호선에 맞춰 8량으로 늘리도록 요구했다. 여기에만 최소 2천여억원이 더 필요하다. 건설공법을 보완하는 데도 1천여억원이 더 들어간다. 1조2천억원의 건설비를 부담해야 하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도 신도시내의 역사 수를 4개로 늘리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강신도시의 토지이용계획이 4개 역사에 맞도록 마련됐는데 김포시 계획대로 3개로 줄어들면 신도시 활성화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이유에서다. 소송 등 민원도 감당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요구를 받아들이면 역사와 노선변경비용을 포함해 1천200여억원이 또 필요하다.

문제는 더 있다. 김포시의 비용산출은 2009년 불변가격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2017년까지인 건설기간의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면 최소 3천여억원의 비용증가 요인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완공을 위해서 7천억원 이상의 돈이 더 필요하다. 공사입찰 과정에서의 변수를 감안해도 5천여억원의 재원을 추가로 조달해야 한다.

시 관계자는 "늘어나는 예산이 너무 많다. 이렇게 되면 김포시 재정으로는 도저히 감당하기 어렵다. 특단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재원문제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국토해양부 승인을 받기 위한 경기도와의 협의도 벽에 부딪혔다. 시는 서울시, LH 등 관련기관과의 협의가 늦어지고 돈 문제가 발목을 잡으면서 지난달 말까지 도에 제출하기로 했던 보완서류도 내지 못하고 있다.

관계기관과의 협의가 늦어지고 재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서 지하철 건설을 위한 출구가 보이지 않자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실무협의체가 만들어졌다. 국토해양부와 경기도, 김포시와 유정복 의원측이 함께 한 협의체는 지난달 31일 첫 모임을 가졌다. 최대한 이른 시일안에 관련기관간의 협의를 마무리짓고 건설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로 합의했다. 8월까지로 예정된 국토해양부 승인을 받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