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평미군기지 한·미 공동조사 안하나
'대량 독성물질 폐기 의혹' 인천시 요구 공문 보내… 국무총리실 "칠곡에 집중 여력없는 상태" 무성의
입력 2011-05-29 22:4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1-05-30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경인일보=김명호·이현준기자]정부가 인천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에 독성물질을 폐기한 의혹과 관련, 한·미 공동조사 계획이 없다고 밝혀 논란이 되고 있다.
┃관련기사 2·3·4면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시는 국무총리실과 국방부, 환경부 등에 부평 미군기지 내부에 대한 한·미 공동조사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이와 관련 정부는 지금껏 아무런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국무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실 관계자는 "현재로선 부평기지에 대한 한·미 공동조사 계획이 없다"라며 "칠곡 미군기지(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에 모든 것을 집중하고 있어 여력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인천시로부터 공동조사를 요구하는 공문은 받았지만 아직 검토하지 못했다"라고 했다.
국방부 시설기획환경과 관계자도 "한·미 공동 조사가 필요한 부평 미군기지 사안은 국무총리실에서 모든 것을 맡고 있다"며 "현재로선 공동조사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북 칠곡 미군기지의 고엽제 매립 의혹과 관련해서는 국무총리실 내에 별도의 정부대응팀을 꾸려 한·미 공동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칠곡 미군기지의 고엽제 매립 논란 이후 현재 부평 미군기지에도 대량의 독성물질이 폐기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 육군 공병단이 1991년 4월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89년 부평의 미군기지 캠프마켓에서 독성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s) 448드럼이 한국업체를 통해 처리됐다. 그러나 관련 기록을 남겨놓지 않아 미 회계감사원(GAO)에 지적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 캠프마켓은 지난 2008년과 2009년 2차례에 걸친 기지 주변 환경조사에서 이미 토양ㆍ수질의 오염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한편 인천시는 30일부터 부평미군기지 주변 지역에 대한 추가 오염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관련기사 2·3·4면
29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시는 국무총리실과 국방부, 환경부 등에 부평 미군기지 내부에 대한 한·미 공동조사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그러나 이와 관련 정부는 지금껏 아무런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국무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실 관계자는 "현재로선 부평기지에 대한 한·미 공동조사 계획이 없다"라며 "칠곡 미군기지(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에 모든 것을 집중하고 있어 여력이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인천시로부터 공동조사를 요구하는 공문은 받았지만 아직 검토하지 못했다"라고 했다.
국방부 시설기획환경과 관계자도 "한·미 공동 조사가 필요한 부평 미군기지 사안은 국무총리실에서 모든 것을 맡고 있다"며 "현재로선 공동조사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경북 칠곡 미군기지의 고엽제 매립 의혹과 관련해서는 국무총리실 내에 별도의 정부대응팀을 꾸려 한·미 공동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칠곡 미군기지의 고엽제 매립 논란 이후 현재 부평 미군기지에도 대량의 독성물질이 폐기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 육군 공병단이 1991년 4월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989년 부평의 미군기지 캠프마켓에서 독성물질인 폴리염화비페닐(PCBs) 448드럼이 한국업체를 통해 처리됐다. 그러나 관련 기록을 남겨놓지 않아 미 회계감사원(GAO)에 지적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밖에 캠프마켓은 지난 2008년과 2009년 2차례에 걸친 기지 주변 환경조사에서 이미 토양ㆍ수질의 오염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한편 인천시는 30일부터 부평미군기지 주변 지역에 대한 추가 오염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관련기사
-
부평미군기지 환경오염 조사 촉구
2011-05-29
-
부평미군기지 터 '수난시대'
2011-05-29
-
부평미군기지 진상조사해야… 한나라 인천시당, 특위 제안
2011-05-29
-
부천 '캠프 머서' 화학물질 매립 조사
2011-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