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의 시외버스터미널 조성 계획이 위치 선정 등을 놓고 20년째 표류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24일 안양시 등에 따르면 지난 1992년 평촌신도시 입주와 함께 동안구 평촌동 934 1만8천353㎡를 시외버스터미널 부지로 결정하고, 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터미널 건립에 나섰다.

하지만 교통 혼잡 유발 등 쾌적한 주거환경 저해를 우려하는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강한 반발에 부딪치면서 이전을 추진, 지난 2005년 동안구 관양동 922 일대 4만1천4㎡여 부지가 새롭게 선정됐다.

그러나 이 부지 또한 접근성 등이 떨어지고, 주변에 소각장 등이 위치해 터미널이 들어설 경우 대기오염 등이 가중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강하게 제기되면서 최종 결정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사업추진 마지막 단계인 '지형도면 변경'고시만을 남겨 놓고 있음에도 지난 6·2지방선거에서 시장이 교체되면서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는 등 위치 선정을 놓고 사업이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터미널 건립 사업이 난항을 거듭하면서 임시로 이용되고 있는 안양역 앞 교통 혼잡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으며, 이용객과 시민들의 불만 또한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시민 김용석(58·안양동)씨는 "고향이 지방인 관계로 안양역 앞 터미널을 자주 찾고 있으나 편의시설이 전혀 없어 비가 와도 피할 곳이 없는 등 같은 요금을 내고도 손해를 보고 있다"며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또다른 시민 강찬모(47·평촌동)씨는 "63만명의 도시에 시외버스터미널이 아직까지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시민 대토론회를 통해서라도 이른 시일내에 부지가 결정되고, 터미널이 조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이용객들의 각종 불편은 이해가 가지만 안양시의 미래를 볼때 현 관양동 터미널 부지는 적정치 못한 부분이 많아 심사숙고하고 있다"며 시민들의 이해를 당부했다.

한편 문제의 터미널 사업과 관련 경기도는 지난 2009년 6월 주민감사 청구를 통해 사업자 등에 대한 부적정한 행정을 지적하고, 기관 경고와 함께 해당 직원 등에 대한 문책 조치 등을 내렸다.

/박석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