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이르면 6월 착공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고속철도(KTX·수서~평택) 동탄역사 건립 시점과 맞물리면서 조기에 토목공사에 착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국토해양부는 오는 6월 착공하는 동탄역사 지하 KTX선로 좌우측에 GTX선로 공간에 대한 터파기 공사도 병행해 달라는 경기도의 요청에 대해 반영 여부를 검토중이라고 16일 밝혔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지난해 5월 KTX 수서~평택간 총 12개 공구 가운데 동탄역 구간을 제외한 11개 구간을 착공했으며, 현재 조성중인 동탄 2신도시내에 GTX와 환승이 가능한 동탄역사 조성공사도 오는 6월 시작할 계획이다.

하지만 GTX사업이 아직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조차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철도시설공단이 KTX 공간만 토목공사할 경우 추후 GTX공간 공사를 다시 해야하는 상황이 된다. 이 경우 공사 비용은 터파기 공사를 함께 시작할 때보다 1천200억원이나 더 드는 것으로 추산된다.

더구나 KTX와 GTX의 토목공사를 따로 할 경우 GTX 연계를 전제로 동탄2신도시 사업시행자인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동탄역사에 제공하기로 한 복합환승센터 건립 계획도 무산되는 것은 물론, 오는 2014년까지 준공 예정인 동탄역사 조성 계획이 지연돼 최악의 경우 KTX가 동탄역 무정차로 운행될 수도 있다.

이같은 이유로 철도공단은 LH가 동탄2지구 광역교통개선비(8천억원)의 일부인 3천억원을 먼저 투입해 GTX공간 토목공사를 진행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지만 LH는 GTX 기본계획이 고시되거나 시행자 지정이 된 이후에나 예산을 투입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정식으로 GTX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온 뒤에도 기본계획 용역과 민자사업제안 접수 등 적어도 1년이 더 걸린다"며 "하지만 동탄역사 조성사업 과정에서 GTX선로 공간을 터파기 해놓지 않는다면 추후 사업에 지장이 커 국토부에선 공사를 강력히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해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