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촉진제 사용해 출산한 아이가 백혈병 걸릴 확률이 2배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없음 (사진=아이클릭아트)
   임신촉진제를 쓰면 출산한 아이가 백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 24일 보도에 따르면 프랑스 국립의학연구소(INSERM)의 제레미 루당(Jeremie Rudant) 박사가 런던에서 열린 '소아암 2012' (Childhood Cancer 2012) 학술회의에서 임신촉진제 사용 여성이 출산한 아이는 가장 흔한 형태의 소아암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ALL)과 급성골수성백혈병(AML)이 나타날 위험이 2배 이상 높아진다고 밝혔다. 

   루당 박사는 백혈병 아이 764명과 건강한 아이 1천681명,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 결과 난소를 자극하는 임신촉진제 사용 여성이 낳은 아이는 ALL 위험이 평균 2.6배, AML 위험은 2.3배 각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임신촉진제를 쓰지 않았지만 임신 성공에 1년이 넘게 걸린 여성이 낳은 아이는 ALL 위험이 일반적인 발생률보다 50% 높았다.

   위험의 정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났지만 실제 발생한 환자의 절대적인 수는 아주 적다.

   영국에서 매년 발생하는 소아백혈병 환자는 400명 정도에 불과하다. 이 중 4분의 3이 ALL이다. 

   이 연구결과는 런던에서 열린 '소아암 2012' (Childhood Cancer 2012) 학술회의에서 발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