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호 / 인천본사 정치부
지난달 28일부터 현재까지 북한의 전파 교란 공격으로 200여대의 민간 항공기 GPS가 '먹통'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 처음 제보를 받은 후 국토부와 항공청 등 관련 기관에 문의를 했지만 돌아온 대답은 "지금으로선 대응할만한 기술과 방법이 없다"는 말뿐이었다. 항공운항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국토부 관계자들의 인식도 한심하기만 하다. GPS교란 여부를 확인하는 기자의 질문에 한 국토부 관계자는 "GPS에 이상이 생겨도 이를 대체할만한 항공장치가 많다"라며 "큰 일은 아니다"라고 대수롭지 않게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북한의 전파 공격은 민간항공기뿐만 아니라 우리 군(軍)의 무기체계를 마비시킬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이나 중국 등 국방 선진국들은 이미 차세대 공격 무기로 '전파'를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소속이었던 이철우 의원은 북한의 GPS전파 교란 공격에 대한 정부의 무능을 질타했다. 지난해 3월 4일 북한의 GPS 전파 교란 공격으로 106대의 민간항공기 GPS에서 시스템 장애가 발생했고, 해군 함정에서조차 GPS장애가 발생했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정부 관계자들은 이른 시일 내에 북한의 전파 공격을 무력화 시킬 수 있는 대응법을 내놓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부가 내놓은 건 아무 것도 없다.

지난 2010년 서해에서는 북한에 의한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 사건이 일어나 많은 희생자들이 나왔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공격이었다.

항공당국은 이번 GPS전파 교란 공격으로 민간항공기의 피해는 없었다고 입장을 밝혔지만, 북한의 전파 공격으로 언제 무슨 일이 발생할 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을 겪은 국민들은 정부가 또 '소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으로 이번 사건을 처리하는 것은 아닌지 불안하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