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급식지원센터의 조직 구성과 운영 방식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시민운동가 출신 시의원이 이례적으로 '민관 협력 모델인 센터를 조속히 설치해야 한다'는 인천학교급식시민모임(이하·시민모임)의 주장을 정면 반박(경인일보 6월15일자 23면 보도)한데 이어, 시민모임이 센터를 총괄 지휘하게 될 센터장 자리 등을 탐내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시민모임은 이에 학교 급식의 투명한 유통 구조와 아이들의 안전한 먹을거리 만들기를 위한 논의가 아닌, 지엽적인 부분을 트집잡으며 사안의 핵심까지 왜곡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노현경 의원은 17일 "일부 시민사회단체가 아이들의 안전한 먹을거리를 빌미로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려는 듯한 상황을 더 이상은 묵과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시 친환경무상급식지원조례'에 따라 센터는 시장이 임명하는 센터장 등 '집행부서'와 공무원 외에 민간인 등 시민사회가 참여할 수 있는 '운영위원회'로 구성된다"며 "시민모임의 주장과 달리 시민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구조다"고 했다. 조례가 정한 센터 운영위에서도 민간인 등 시민사회가 참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집행부를 감시·견제할 수 있다는 논리다.
특히 노 의원은 시민모임이 최근 시에 제출한 '급식지원센터 설치 운영계획 의견서'를 공개하며, 시민모임이 자리 욕심을 내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시민모임이 이 문건에서 시와 시교육청 파견직을 제외하고 센터장(계약직 가급), 사무국장(〃 다급), 실무직원(〃 라급) 등의 직급까지 구체적으로 명시한 배경 등에 대해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는 것이다.
시민모임은 터무니없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시민모임 한 관계자는 "사안의 핵심은 센터를 통해 지금의 불투명한 급식 식자재의 생산·유통·조리 등 모든 과정을 검증해 보자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또 "센터를 가장 공정하게 운영할 주체는 이해 당사자인 급식업체 관계자나 관리감독을 제대로 못해 온 시 또는 시교육청 행정관료가 아닌, 오랜기간 꾸준히 급식운동을 펼쳐온 시민사회 세력이란 것을 노 의원이 가장 잘 알고 있을 것이다"며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은 학교급식 운동의 정신마저 부정하는 처사다"고 반박했다.
/임승재기자
"아이들 먹거리 빌미 시민단체가 자리 욕심"
노현경 인천시의원, 인천시 급식지원센터 관련 의혹 제기
시민모임 "사안 핵심 외면한 터무니 없는 트집"
입력 2012-06-18 00:2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6-18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시민운동가 출신 인천시의원 '반대' 인천급식지원센터 커지는 마찰
2012-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