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대형 화력발전소·가스기지 증설 계획이 올해 한꺼번에 몰려 진행돼 논란이 일고 있다.

15일 인천시에 따르면 최근 한국가스공사는 이사회를 열어 송도LNG기지 증설안을 통과시켰고, 한국남동발전은 영흥화력 7·8호기 증설 계획을 확정짓고, 현재 환경부와 어떤 연료를 사용해 발전기(증설될 발전기)를 돌릴 지를 알아보는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서구에 있는 포스코파워 또한 오는 10월부터 LNG복합발전소 증설에 따른 공사에 착수한다. 이들 사업 대부분은 '국가 전력 공급사업'이란 의제 아래 일사천리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인천시민들의 반대 목소리는 철저히 배제당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나 인천시가 시민들의 반대 목소리를 담아내 정부에 강력히 전달해야 하지만, 상황은 그렇지 않다.

한국가스공사는 지난 2일 이사회를 열어 인천인수기지에 LNG 저장탱크(20만㎘) 2기와 기화송출설비 1기를 증설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시는 이사회 개최사실조차 모르고 있다가 지역 언론을 통해 이슈화 되자 뒤늦게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원래 바다 한가운데 있던 송도 LNG기지는 송도 경제자유구역 건설을 위한 바다 매립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현재는 육지와 거의 맞닿아 있는 상태다. 이로 인한 위험성은 지역에서 그동안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한국가스공사와 지식경제부 등은 국가 전력 수급이 더 중요하다며 지역 여론을 묵살해 왔다.

인천지역 온실 가스 배출량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영흥화력 또한 올해 7·8호기를 추가 증설한다는 계획을 확정짓고, 환경부와 협의를 벌이고 있다.

영흥화력은 현재 1~4호기(3천340㎿)가 가동중이고 5·6호기(1천740㎿)는 오는 2014년 완공 목표로 건설중이다. 영흥화력본부는 여기에 추가로 7·8호기(1천740㎿)를 건설키로 정부와 합의해 놓은 상태다.

문제는 증설될 7·8호기가 석탄을 연료로 운영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올해초 영흥화력은 정부에 석탄을 연료로 발전소를 증설시키겠다는 안을 제출했고 환경부는 이를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 전체 온실가스(CO2)배출량(5천335만9천t) 중 영흥화력이 차지하는 비율은 50% 가량이다. 인천시는 이 비율이 2015년에는 55.4%로 증가하고 2020년에는 62.3%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시는 영흥화력의 석탄발전기 증설 계획에 대해 "지금으로선 우리가 개입할 여지가 없다"라며 한발 물러서 있는 상태다.

서구에 있는 포스코파워도 오는 10월부터 노후된 발전기 2개를 폐쇄하고, 전력생산 용량을 늘려 새로운 발전기를 만드는 증설 공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조강희 인천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발전소 증설 문제와 관련해 인천 정치권과 시가 적극 나서야 할 때가 왔다"라며 "언제까지 인천이 정부 전력 수급사업의 희생양이 돼야 하느냐"라고 말했다.

/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