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선경선 참여로 한달여간 자리를 비웠던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돌아왔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김 지사의 경선을 돕기위해 퇴직했던 김 지사 측근 계약직 공무원 5명을 복귀시키려는 과정에서 잡음이 생긴 것이다. 자리는 줘야 하는데 대놓고 하자니 남보기 그렇고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공개선발시험이었다. 우선 경기도는 지난 2일 공석중이던 5개 보직 채용을 위해 '2012년 제13회 지방계약직 공무원 선발시험' 공고를 냈다. 정확히 몇명이 응시했는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아마도 구직난이 심화되고 있는 최근의 상황을 비추어볼때 꽤 많은 서류가 접수됐을 것이다. 경기도는 서류 심사로 22명을 선발했다. 여기까지는 큰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김 지사의 측근인 전직 계약직 공무원 5명이 1차 서류 심사에 무난히 합격하고 최종 선발을 남겨두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시끄러워졌다.

이러다보니 '짬짜미'라는 말도 나오고 '측근 5명은 모두 복귀할 것', '나머지는 모두 들러리'라는 말들이 무성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일부에서 측근들을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 합격자를 내정해 놓고 선발시험을 형식적으로 치러 구색만 갖추려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더구나 경기도는 지난 1개월이 넘도록 이들 공석을 메우지 않고 있다가 김 지사의 도정복귀 여부가 결정되는 20일부터 22일까지 서류접수를 받은 것도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 오죽하면 도의회가 나서서 의혹을 제기했을까.

공직자 선발은 엄연히 법에 정한 규정에 의해 자격여건을 갖춘 사람을 뽑아야 한다. 자신의 경선을 돕기 위해 공무원직을 버리고 뛰어든 측근 인사를 배려해 주고싶은 김 지사의 속마음을 모르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인지상정이고 의리라는 것도 안다. 하지만 대선캠프에서 김 지사를 도왔다는 이유로 편법을 써서 다시 공직에 불러들이려는 행위는 원칙을 중시하는 김 지사의 품격을 떨어뜨리는 옹졸한 처사다. 입으로는 일자리 창출을 외치면서 뒤로는 자기 식구만을 챙기려는 행위는 일자리를 찾는 많은 사람들이 받아야 할 '기회균등의 원칙'을 짓밟는 횡포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더구나 김 지사는 대권을 잡는 꿈을 가졌던 대권후보였고 아직도 그 꿈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공적인 일에 공명정대함을 잃고 제식구 챙기는데 급급하다면 누가 차차기에 김 지사를 지지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