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까지 증설될 영흥화력 7·8호기의 연료가 석탄으로 결정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인천시와 지역 환경단체 등이 환경 피해를 우려하며 적극 반발하고 있다. 사진은 영흥화력발전소 전경. /임순석기자
한국남동발전 영흥화력 본부가 7·8호기(1천740㎿) 증설 계획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증설될 발전소의 연료가 석탄으로 결정날 가능성이 커졌다.

현재 인천시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5%를 영흥화력이 차지하고 있고, 증설될 7·8호기마저 석탄을 연료로 사용할 경우 그 비중은 62.2%까지 올라가게 된다. 인천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절반 이상을 영흥화력이 배출하게 되는 셈이다. ┃관련기사 3면

29일 한국남동발전과 인천시에 따르면 지식경제부는 다음달 1일 제6차 전력수급계획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지경부는 영흥화력 7·8호기의 연료를 석탄으로 정해 2018년까지 완공한다는 계획을 발표한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또한 경제성 면에서 영흥화력 7·8호기 연료를 석탄으로 정하는게 맞다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최근 환경부에 통보했다. 환경부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판단 등을 종합해 조만간 지경부에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결국 환경부 또한 지경부의 석탄 연료 계획을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인천지역 환경단체는 분석하고 있다.

인천환경운동연합 이혜경 정책실장은 "지경부가 새로운 정권이 들어서기 전에 6차 전력수급계획을 마무리 지으려 하고 있다"며 "환경부 또한 7·8호기 연료 부분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지경부에 전달하지 않고 있어 그 속내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영흥화력은 현재 1~4호기(3천340㎿)가 가동 중이고 5~6호기(1천740㎿)는 2014 완공 목표로 건설중이다. 영흥화력본부는 여기에 추가로 7~8호기(1천740㎿)를 2018년까지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1~6호기는 석탄을 쓴다.

인천시를 비롯한 지역 환경단체 등은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대형 화력발전소 대부분이 인천에 집중돼 있는 상황에서, 또다시 석탄을 연료로 하는 영흥화력 증설 계획이 현실화 하면, 시민들은 '환경재앙'수준의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미 시에서는 지난해 영흥화력의 증설을 반대한다는 의견을 정부에 전달했다"며 "자치단체 차원에서 법적으로 발전소 증설 계획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영흥화력 관계자는 "7·8호기가 증설돼도 법으로 정해진 온실가스 배출량 총량은 초과하지 않는다"며 "경제성 등 여러가지를 따졌을 때 석탄 외에 답은 없다"고 설명했다.

/김명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