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연장 근거 마련과 관련 있어 보이는 연구과제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도권매립지 주변 공업단지의 악취실태를 조사하겠다는 것인데, 매립지 환경피해에 대한 '물타기 시도'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관련기사 3면

17일 인천시 서구 등에 따르면,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수도권매립지 및 영향권지역의 악취실태 조사' 등 수도권매립지 악취문제와 관련된 두 가지 연구과제를 진행중이다. 인천 서구 청라·검단·검암동 등 매립지주변 지역의 악취가 수도권매립지 때문만인지,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에 위치한 서부산업단지와 석남·원창동 일대 공장들 때문인지를 정확히 가려내자는 것이다.

서구 지역엔 1천여개의 악취배출업체가 있으며, 가좌분뇨처리장 등 38곳이 집중관리대상으로 지정돼 있다. 환경과학원은 200여개 업체의 배출실태를 조사할 계획으로, 최근 서구에 관련 연구에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환경부의 이번 연구를 두고 서구지역 주민들은 매립기간 연장을 위한 일종의 '물타기 시도'라고 비난하고 있다. 주변지역 악취의 원인을 수도권매립지가 아닌 공단지역의 책임으로 돌리려는 것 아니냐는 얘기다. 특히, 매립지 연장 논란이 일고 있는 시점에서 돌연 서구지역 산업단지의 악취실태를 조사하는 것은 순수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서구는 자료제공 및 업체방문 등 관련 연구를 위한 협조를 일절 거부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악취관리는 지자체 전담이기 때문에 서구가 이번 조사에 협조하지 않을 경우엔 이번 환경부 연구는 신뢰성이 떨어지는 '반쪽짜리 연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서구 관계자는 "국가기관에서 요청한 협조는 받아들이는 것이 당연하지만, 이번 연구만큼은 주민 정서상 받아들일 수 없었다"며 "환경부에 수도권매립지 매립기간 연장의 빌미를 조금이라도 제공해선 안 된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현재 매립지 주변지역의 악취 실태는 어느 정도 파악됐지만 감각적인 것일 뿐, 정량화된 자료는 만들어진 적이 없다"며 "악취발생량이 수도권매립지가 많은지 공단이 많은지, 또 각종 기상상황을 고려했을 때는 어떤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민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