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이전이 결정된 경기도내 공공기관들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이사를 시작하지만, 기존 부지의 절반 가량이 아직 제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진행됐던 정부 주도의 공공분야 매입이 사실상 완료된 상태여서, 나머지 부지는 민간거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부동산 경기침체 속에 매매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지역경제의 심각한 타격과 대규모 공동화 현상이 불가피한 것이다. ┃관련기사 3면
28일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등에 따르면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도내 공공기관은 지난달 기준 모두 55곳으로, 임대 청사 등을 사용하던 14곳 외에 기존 청사 부지를 매각해 이전 비용을 충당해야 하는 곳은 모두 41곳이다.
이 가운데 20개 기관이 아직 부지를 팔지 못하고 있으며, 이중 15곳은 이전계획상 올해안에 부지를 팔아야 한다. 2곳은 이미 부지 매각 시기를 넘겼다.
매각이 지지부진한 곳은 대부분 정부 산하기관 부지로, 이제까지 LH 등 공공기관이 주로 매입해온 정부 소속 기관 부지에 비해 활용 가치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는 평이다.
현재 남아있는 부지는 토지용도상 지을 수 있는 건물이나 층 증축 등 개발이 제한되는 곳이 다수인데다, 일부는 인근 지역에 비해 공시지가도 높은 편이다.
재정여건 악화 등을 이유로 LH 등 공공기관이 추가 매입을 부담스러워해 이제까지 공공기관이 주도해온 부지 매입은 사실상 끝난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마저 얼어붙어 민간에서도 이렇다할 반응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지난 11일 지자체와의 협의를 통해 규제를 완화해 부지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LH 등 공공기관들이 정부 산하기관 부지를 매입할 경우 일정부분 손실 보전을 해주는 방안을 검토키로 하는 등 대책을 내놓았지만, 경색된 시장 분위기를 풀기엔 역부족이라는 평이다.
부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내년부터 이전이 이뤄질 경우, 대규모 공동화가 불가피한만큼 보다 확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아직 절반 가량이 부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상황에서 이전이 이뤄지면, 대규모 공동화도 불가피한데다가 도의 각종 도시개발계획이 줄줄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며 "이제까지와는 달리 공공기관이 매입을 주도하기도 어려워진 상황에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정기자
혁신도시 옮겨갈 경기도 공공기관 부지 새주인 찾지못해 황무지 전락하나
41곳 중 20곳 아직 매각 못해
기존 땅보다 활용 가치 낮아
LH 등 공공기관도 매입 꺼려
입력 2013-07-28 23:27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07-29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혁신도시 이전' 남은 공공기관 부지는?
2013-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