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내 농촌지역의 자살률이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자살률이 높은 60세 이상 노인 인구가 농촌지역 인구 수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영향 때문인데, 정부와 경기도의 보다 실효성 있는 노인 자살예방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관련기사 3면
12일 경인일보가 지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8년간 통계청의 사망원인 통계를 분석한 결과, 자살(고의적 자해)로 인한 사망자 수는 모두 2만3천34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의 경우 3천215명으로 하루 평균 8.8명, 1시간당 평균 0.4명이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8년간 경기도내 31개 시·군 중 자살로 인한 사망률(인구 10만명당 기준)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천군과 양평군으로 평균 44.8명이며 가평군 43.7명, 포천시 41명, 여주시 39.9명, 안성시 37.8명, 동두천시 37.4명 등 순이다. 그래픽 참조
반면, 과천시가 평균 16명으로 자살률이 가장 낮았고 이어 의왕시 19.4명, 군포시 19.5명, 안양시 20.6명, 고양시 21.2명 등 순이다.
이처럼 농촌지역이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살률이 높은 가운데 연천·양평군과 과천시간 차이는 무려 28.8명이나 된다.
정신보건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도시지역에 비해 높은 노인 인구수와 자살고위험군의 분포 등을 꼽고 있다.
실제 연천과 양평군의 지난해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20.4%, 19%다. 과천시는 10%, 의왕시는 8.8%에 불과했다.
노인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는 이유로는 만성적 질병·장애에 대한 부담과 경제적인 어려움, 정서적인 지지 부족, 우울증 등이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하고 있다.
경기도는 노인자살예방센터 운영과 저소득 노인 우울증 치료비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해 왔지만 여전히 노인 자살률은 높은 편이다.
이 밖에 최근 자살 수단으로 번개탄(착화탄) 사용이 급증해 캠페인 문구 삽입 등 이를 막을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도 요구되고 있다.
경기도자살예방센터 관계자는 "60대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의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은 지역에 비해 높게 나왔다"며 "최근 자살 수단으로 폭넓게 사용되는 번개탄 등을 포함해 여러 자살수단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