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74주년 기획]2020 제21대 총선 전망 ①

팔도서 모여든 유권자들… 경인을 보면 민심 보인다

정의종·이성철·김연태 기자

발행일 2019-10-07 제2면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그래픽/박성현기자 pssh0911@kyeongin.com/아이클릭아트

#경인권정치, 지나온 20년이 미래 20년 가른다


강산이 2번 바뀐다는 20년.

 

성년에 이른다는 약관(弱冠)의 세월, 경기·인천의 정치 지형도 수도권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많은 변화와 기록을 남겼다. 

 

지난 2000년 16대 총선에서부터 내년 4월 치러지는 21대 총선까지 6차례 총선을 치르면서 인구도 많이 증가하고, 국회의원 수도 전국 최다 의석을 보유하게 됐다. 

 

인구 수에 비례하는 만큼 교통과 문화, 복지 등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고, 경기·인천 로컬 정치는 주민의 요구와 정치권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주역으로 자리 잡았다. 

 

다만 팔도에서 모여 사는 유권자들의 특성상 영·호남처럼 응집력은 약했지만, 전국 민심을 가늠하는 리트머스 시험지 같은 균형추로서 한국 정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켜온 것은 주목할 대목이다.


그래서 여야의 총선 승패를 결정짓는 분수령이 됐다. 역대 총선 결과를 보더라도 '여소야대', '여대야소'의 구도를 결정지었다. 

 

여야 모두가 경인지역의 의석수 확보에 사활을 걸고 선거 때만 되면 당직자 수를 늘려 주거나 정책과 예산 지원을 아끼지 않았던 것도 같은 이유다.

그런 경쟁의 틀에서 2000년 이후 우파와 좌파의 싸움은 계속됐다. 경인지역 의석수만으론 16~20대 총선에서 우파가 한 번, 좌파가 네 번 승리해 '야도'라는 이미지가 있다. 

 

물론 대선판에서는 특정 정파에 힘을 몰아주지 않고 단호한 심판자 역할을 해오면서 정권 교체의 척도가 됐다.

이런 분위기는 21대 총선 승패에도 어김없이 큰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총선을 6개월 앞두고 각 당은 수도권 기 싸움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벌써 전략 수립에 한창이다.

아직 구체적인 전략은 나오지 않았지만, 수도권 중도 표심을 얻기 위해 어느 때보다 총력을 다하려는 분위기다. 

 

때론 정책으로, 때론 인물로 승부를 보겠다는 의지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지만 20대 대선을 앞둔 전초전 같은 진영의 싸움이 전개될 것으로 보이면서 지역의 역할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나온 20년 동안 지역 정치권의 변화가 여야의 명운을 갈랐듯, 다가올 20년도 지역 유권자의 손에 의해 대한민국 정당의 흥망성쇠를 결정지을 것으로 보인다.

영·호남 중심 패권에 밀리는 현실 불구
73개 최다 의석수로 '정치 위상' 개선돼
5번중 4번 진보승… 대선땐 심판자 역할
여소야대·여대야소 결정 짓는 '승부처'

서청원·이석현 등 국회의장 나올지 주목

■ 전국 최대 의석수, "선거 승패 가른다"


경기·인천지역 국회의원 의석수는 현재 전국에서 가장 많은 73석(경기 60석, 인천 13석)이다.

국회에 계류 중인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이 추진되더라도 경인지역은 많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의석수가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경인지역 총선 결과가 여야 정당의 승패를 가르는 분수령이 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의석수가 많다 해서 지역 정치권의 존재감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의석수보다 정치적 입지나 목소리는 작았지만, 나름대로 생활밀착 정치에선 늘 앞서 나간 것이 경인정가의 특징이다.

우리 정치사에서 늘 그랬듯이, 영·호남 중심의 패권 정치에 밀려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점은 극복해야 할 과제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를 제외한 주택·교통·문화· 복지 등 예산문제와 제도 개선, 삶의 질에 관해서는 나름 주민들의 욕구를 충족시켰다고 할 수 있다.

지방보다 의석수가 워낙 많다 보니 최근에는 정치위상도 조금씩 살아나고 있다. 

 

집권여당에선 경인지역 정치인을 각료로 추천하기도 하고, 실제 복수의 인사들이 현재 장관으로 활약하고 있는 점은 지역 정치의 부상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여야 지도부가 이번 21대 총선을 앞두고 지역 정치인을 많이 중용하는 것도 환경 변화 중 하나로 꼽힌다. 그래서 지역 정가에서는 예전부터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자주 나왔다.

 

이제 산적한 현안에 여야가 따로 없다고 인정하는 만큼, 21대 국회에선 진영의 논리보다 지역 현안과 숙원 과제에 집중하는 로컬정치의 부활에 기대를 거는 이유다.

■ 여소야대냐, 여대야소냐 '최대 승부처'


현행 국회의원 의석수 기준으로 전체 300석의 20%(60석)를 차지하는 전국 최대 선거구인 경기도는 총선 승리로 가기 위한 민심의 풍향계로 여겨지면서 여야 모두가 '최대 승부처'로 꼽는 지역이다.

앞서 치러진 선거를 보면 경기도 표심은 전체 선거구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다.

지난 2016년에 치러진 20대 총선의 경우 민주당 40석,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19석, 정의당 1석으로 민주당이 도내 의석의 과반을 차지했다. 민주당이 더블스코어의 압승을 거뒀다.

민주당은 이에 힘입어 전국에서 123석을 차지하면서 새누리당 122석, 국민의당 38석을 뛰어넘어 원내 1당으로 올라섰다. 

 

19대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21석, 민주통합당 29석으로 큰 차이가 없는 가운데 통합진보당도 2석을 얻었다. 

 

다만, 전체 의석수에서는 새누리당이 152석으로 민주통합당 127석, 통합진보당 13석을 합친 것보다 많아 승리를 이끌었다. 18대 선거 역시 한나라당은 32석으로 통합민주당 17석을 넘어섰다. 

 

그 결과 전체 의석수에서 한나라당 131석, 통합민주당 66석으로 경기도 선거판도와 비례한 결과를 보이면서 여소야대 국면을 맞이했다.

 

17대 선거에선 열린우리당이 44석, 한나라당이 17석을 확보했고, 16대 선거에선 새천년민주당이 28석, 한나라당이 23석을 얻었다.

여야는 내년 총선에서도 경기도 민심을 얻어야 국정 주도권을 잡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한 치도 물러섬이 없는 격돌을 벌일 것을 예상된다.

2019100701000421500019183

■ 국회의장 또 나올까

20대 국회에선 60여년만에 의정부 출신인 문희상 의원이 국회의장에 선출됐다. 

 

경기도 정치사에 한 획을 그은 국회의장 배출은 경인지역 정치권의 위상 변화로도 이어지고 있다.

이 기세가 21대 국회에서 다시 재현될지 정치권은 주목하고 있다. 일단 여야를 막론하고 후보군은 충분하다. 통상적으로 원내 1당 후보가 의장직에 선출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민주당과 한국당의 총선 결과가 중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 가운데 민주당에선 차기 의장 후보로 6선의 이석현(안양동안갑) 의원과 5선의 원혜영(부천오정)·이종걸(안양만안) 의원이 거론된다.

야권에선 한국당에서 탈당한 8선의 서청원(화성갑) 의원의 한국당 복귀와 무소속으로 나올 경우 9선에 성공하면 보수 우파의 최다선으로 의장 대열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한국당에선 5선의 원유철(평택갑) 의원과 국회부의장을 지낸 심재철(안양 동안을) 의원도 같은 선수로서 당락에 따라 국회의장 후보군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또 바른미래당 정병국(여주 양평) 의원도 보수통합 후보로 6선에 성공할 경우 문화체육부장관을 거친 유명세를 타고 의장 자원으로 충분한 상황이다.

/정의종·이성철·김연태기자jej@kyeongin.com


정의종·이성철·김연태기자의 다른 기사보기 >

빠른 선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