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타쿠들에게 ‘성지’라 불리는 곳은 어떤 모습일까. 판교의 한 칵테일바 ‘사보리 스토어’를 찾았다.
사보리는 학원물 액션게임 ‘클로저스’의 여성 캐릭터다. 매장 내부가 캐릭터들로 꾸며졌고, 메뉴도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것과 똑같다.
한경철 대표는 “IT회사가 밀집돼있는 판교는 오타쿠 문화에 대해 늘 굶주려 있다”며 “이곳에서 오타쿠는 특이한 사람이 아니다”라고 했다.
한 대표는 게임전문지 기자, (주)엔씨소프트 게임기획자, 디지털콘텐츠 복제방지 영업 등 경력을 가지고 있어 문화콘텐츠 산업과 연이 깊다. 어린 시절부터 일본 애니메이션을 좋아한 정통 오타쿠이기도 하다.

서울 사당동의 ‘사보텐 스토어’와 피규어판매, 구매대행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도 함께 운영하며 월 평균매출은 4천만원이 넘는다. 온라인 회원수도 2만명이 넘었다.
한 대표는 “IT기술의 발달로 디지털콘텐츠가 많아져 하위문화로 불리던 애니메이션, 게임 등이 대중화된 점은 좋지만, 서울 청계천, 부산 남포동 등 오프라인 성지가 사라져 아쉬움에 직접 만들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문화콘텐츠 산업의 핵심은 ‘문화를 만드는 것’”이라며 “오프라인 노출을 통해 일상에서의 익숙함이 형성되지 않으면 외국 콘텐츠에 우리 시장을 빼앗기고 말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 TV에서 나오는 게임 CF 중 스토리가 있는 것은 모두 외국 콘텐츠라며 아쉬워했다.
한 대표는 “초기투자비용이 들어도 오프라인 매장에 오타쿠를 모으는 것이 문화를 정착시키는 첫 단추”라며 “캐릭터 카드를 주는 적은 비용의 이벤트로도 구매를 유도하고 지속가능한 시장을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시언기자 coo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