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성관측면1
나주목의 객사였던 금성관. /나주시 제공

관아 있던 전남 관할 중심지 3.7㎞ 읍성 복원
객사 ‘금성관’ 옛 형태 완벽 유지 ‘전국 유일’
500살 은행나무 품은 향교등 전통 고스란히

수천년 물자수송 영산강 황포돛배투어 재미
강변따라 ‘반남 고분군’ 고대 무덤양식 독특
‘주몽’ 촬영지 영상테마파크서 ‘고구려 탐방’


2015120401000316300014097
한 해가 저물어가고 있다. 고운 단풍으로 물들었던 산과 들판이 겨울 빛을 띠며 2015년과의 작별을 준비하고 있다. 수많은 계절이 지나간 역사의 고을에서 겨울 여행을 하며 고요하게 한 해를 정리해보자. 2000년의 시간이 머물고 있는 나주로 떠나는 ‘역사 여행’이다.

전주와 나주의 머리글자를 딴 전라도. 나주목은 전라남도를 관할하는 중심 고을이었다. ‘천년목사고을’로 불리던 나주는 너른 평야와 넉넉한 인심으로 무장한 명품 역사 문화도시다.

나주 관아가 있던 ‘나주 읍성권’에는 4대문과 3.7㎞가 넘는 길이의 읍성이 복원되어 있다. 금성관의 위용도 느낄 수 있다. 나주목의 객사(客舍)였던 금성관은 사신과 중앙관리들의 숙소로 이용됐던 곳이다. 완벽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객사는 나주가 유일하다.

영산강 황포돛배22
영산강 황포돛배투어 체험을 하고 있는 관광객들과 영산강 물길따라 떠가는 황포돛배 모습. /나주시 제공

나주 향교에서는 단아한 한국의 건축미를 느낄 수 있다. 향교를 에워싼 소박한 담장을 따라 기와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걸음을 하다 보면 마음이 평온해진다. 대성전 앞에는 500년 된 은행나무가 나주향교의 역사를 간직하고 서있다.

나주 일대를 관장하는 목사의 살림집으로 사용됐던 목사내아는 한옥 숙박을 할 수 있는 전통문화 체험공간으로 바뀌었다. ‘금학헌’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고 있는 옛 목사내아는 좋은 터에 자리를 하고 있어서 하룻밤 묵고 나면 좋은 기를 받아 집안에 좋은 일이 생긴다고 해,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문의 : http://moksanaea.naju.go.kr)

바닷물이 영산강 물길을 따라 오르내리던 시절이 있었다. 쌀, 소금, 홍어 등을 싣고 분주하게 오가던 돛배들. 황토로 물들인 돛을 단 황포돛배가 수놓던 영산강 물길은 육로교통의 발달과 함께 추억의 길이 됐다. 상류에 댐이 들어서고 영산강 하구둑이 만들어지면서 1977년 마지막 배가 이곳을 떠났다.

이제는 나주의 역사를 만나려는 사람들과 옛 추억을 싣고 황포돛배가 영산강 물길을 미끄러지듯 달리고 있다.

영산강 황포돛배 체험
영산강 황포돛배투어 체험을 하고 있는 관광객들과 영산강 물길따라 떠가는 황포돛배 모습. /나주시 제공

옛 목선을 그대로 재현한 빛가람 1호와 2호, 한옥 지붕이 멋스러운 나주호, 발굴된 고려시대 뱃조각을 복원해놓은 왕건호 등 황포돛배 투어가 풍성하다. 해설사의 구수한 설명을 들으며 아름다운 풍광을 쫓다보면 수많은 이야기와 추억이 함께 흘러간다. (문의 : 061-332-1755)

쪽빛으로 물든 한국 천연 염색 박물관에서 나만의 색을 만들어보자. 나주는 예로부터 비단을 직조하고 쪽을 염색하는 기술이 발달한 곳이다. 영산강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리적 환경 탓에 쪽과 뽕나무를 재배하기에 좋았던 게 큰 이유다.

천연염색박물관에는 다양한 천연 염색 작품을 볼 수 있는 전시관과 200명이 동시에 작품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관, 우수 업체의 천연 염색 상품을 전시·판매하고 있는 ‘천연염색 공방’도 있다. (문의 : 061-335-0091, http://www.naturaldyeing.or.kr)

영산포에서 영암 방면으로 3㎞로 정도를 달리다 보면 탁 트인 들판 한가운데 솟아있는 큰 무덤들이 눈에 띈다. 이곳이 바로 반남 고분군이다. 자미산(98m)을 중심으로 신촌리, 대안리, 덕사리의 낮은 구릉지에 위치한 반남 고분군에는 대형옹관고분 수십 기가 분포하고 있다.

복암리고분군 1
복암리 고분군. /나주시 제공

대형옹관고분은 지상에 분구를 쌓고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한 커다란 옹(甕)을 매장하는 방식으로 영산강 유역 고대 사회의 독특한 고분 양식으로 꼽힌다. 지배계층의 무덤인 대형옹관고분은 나주 반남 일대는 물론 영암, 함평 등 영산강을 따라 형성되고 있다.

복암리 고분군에서도 이런 거대한 고분군을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금동신발, 큰칼 등 많은 부장품이 쏟아져나왔다. 이곳의 생생한 역사를 만나고 싶다면 국립나주박물관으로 걸음을 옮기면 된다. (문의 : 061-330-7800, http://naju.museum.go.kr)

드라마 속 주인공이 되어 내려다보는 영산강의 풍경은 어떨까? 드라마 ‘주몽’의 촬영지로 유명한 나주 영상테마파크는 나주 최고의 전망대로 꼽히는 곳이다. 공산면 신곡리 산자락에 위치한 테마파크의 고구려궁 맞은편에 있는 성루가 명당이다. 성루에 올라서면 S자로 굽이쳐 유유히 흘러가는 영산강이 눈에 안긴다.

나주영상테마파크는 고구려의 건국 역사와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영상 전문 테마공원으로 그동안 100만 명이 넘는 방문객이 다녀갔다. 고구려의 기상을 느낄 수 있는 역사의 공간이다. (문의 : 061-335-7008, http://themepark.naju.go.kr)

나주 불회사 전경
나주 불회사 전경. /나주시 제공

계절마다 다른 모습으로 덕룡산에 안겨있는 불회사도 역사 여행지로 빼놓을 수 없다. 어귀의 돌장승과 아름다운 대웅전에 끌려 걸음을 하게 되는 불회사는 봄에는 측백숲에서 퍼지는 봄기운에 취하고, 여름철에는 비자나무와 측백나무 숲의 상쾌함에 끌리는 곳이다.

불회사 주위를 둘러싼 숲은 가장 늦게까지 단풍 빛을 머금고 있어 나주호와 더불어 관광지로 사랑을 받고 있다. 불회사 입구를 두고 양쪽으로 등산로가 나 있어서 반나절을 잡아 산세를 느끼기에도 좋다. (문의 : 061-337-3440, http://www.bulhoesa.org)

광주일보/김여울기자 wool@kwangju.co.kr
2015120401000316300014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