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와이드 장난감 박물관 장난감대여실1
10일 오후 인천 남구 학익동 푸른마을아동복지종합센터 내 신세계이마트희망장난감도서관 장난감 대여실을 찾은 어린이 부모들이 장난감을 고르고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

1963년 스웨덴 ‘레코텍’ 세계 최초
우리나라엔 1982년 英 선교사 첫선
특수아 전용서 모든 아동 공간으로
부모 소모임 꾸려 양육정보 공유도


196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 특수한 교육이 필요한 아이들의 부모, 교사를 위한 레코텍(Lekotek) 이라는 시설이 처음으로 문을 열었다. 레코텍은 스웨덴의 ‘놀이(lek)’와 ‘도서관(tek)’이라는 단어를 결합해 만들어졌다.

특수아 자녀를 둔 가족들은 레코텍에서 서로가 가진 장난감을 빌려주고 받는 자발적이고 실용적인 모임을 가졌다. 이것이 영국을 거쳐 유럽과 전 세계로 퍼졌고, 세계 장난감도서관의 효시가 됐다.

우리나라에도 1982년 9월 서울 구로구 성베드로학교에 영국의 여성 선교사인 후리다(Dr. Freda) 선교사가 ‘LEKOTEK Korea’의 문을 열며 장난감 도서관의 역사가 시작됐다. 후리다 선교사는 인근 외국인 학교에서 나오는 폐품 중에서 쓸만한 것을 골라 장애 아동을 위한 장난감 도서관의 운영을 시작했다.

초창기 장난감 도서관은 특수아를 위한 시설로 출발했지만 이제는 모든 아동을 위한 기관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표적인 장난감 대여점으로는 도담도담장난감월드를 비롯 신세계이마트희망장난감도서관 등이 있다. 인천 남구 학익동 푸른마을아동복지종합센터에는 지난달 11일 신세계이마트희망장난감도서관 48호점 학익관이 개관했다.

아이들 연령대에 맞춰 장난감 300여 점을 보유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50여 명의 아이들이 이곳을 이용하고 있다. 박선미(28·여) 씨는 “아이들에게 장난감을 사주더라도 오래 지나지 않아 새 장난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대여점을 통해 빌리고, 또 다른 것으로 바꾸고 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다”고 말했다.

장난감 대여점이 단순히 장난감 대여만 하는 곳은 아니다. 부모들이 아이를 양육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는 장소로 각광 받고 있으며, 비슷한 또래의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소모임을 꾸려 양육 정보를 공유하는 장소가 되기도 한다.

김승미 푸른마을아동복지종합센터 과장은 “어린이들의 크고 작은 근육을 발달시키고 창의력을 증진할 수 있는 장난감을 추천해 준다”며 “단순히 장난감을 대여하는 기능에서 부모에게는 자녀를 양육하는 방법 등을 알려주는 등 종합적인 보육 기능을 하는 곳”이라고 말했다.

/신상윤기자 ss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