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 카페 예약 통해 무료 수리
전국서 1주일에 100~150건씩 몰려
지자체 대여점에 1천여점 기부도
‘장난감병원을 아세요?’
고장난 장난감을 무료로 고쳐주는 우리나라 유일의 ‘키니스 장난감병원’은 장난감을 매개로 어린이와 노인이 어우러져 ‘세대 간의 공존’을 모색하며 2011년 문을 열었다.
Kid(어린이)와 Silver(노인)의 합성어인 키니스(KiniS)로 명칭을 정한 병원은 인천 남구의 지원을 받아 관교동의 주택가(경원대로 658번길 17. 2층)에 자리 잡았다.
병원을 이용하려면 인터넷 카폐(http://cafe.naver.com/toyclinic)를 통해 회원 가입 후 게시판에 장난감의 사진과 증상을 올리면 진료 예약이 된다. 예약 후 바로 입원하는 게 아니라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병원 측의 허가 댓글을 확인 후 입원치료 의뢰를 해야한다.
게시판에서 입원치료 의뢰서를 내려받아서 메일(kinis46@naver.com)로 보내고, 입원할 장난감을 택배로 보내는 방식이다. 입소문을 타면서 현재 카페 회원은 2만여명에 달한다. 지난 9일 하루 동안 진료 예약은 24건에 달했다. 1주일이면 100건에서 많게는 150건에 이른다고 한다.

키니스 장난감병원의 의료진은 어린이들을 위해 기꺼이 재능을 기부한 6명의 박사들로 구성됐다. 60시간 동안의 실습 과정 등을 이수해야 박사 자격이 주어진다. 김종일 병원 이사장을 중심으로 김기성, 하영선, 김영봉, 김경래(이상 69세)씨와 막내인 박종태(66세)씨이다.
모두 공학도 출신으로 김 이사장과 김기성, 하영선, 김영봉씨는 대학 교수로 강단에 섰으며, 김경래씨는 고교 교장을 역임했다. 박종태씨는 전자 회사에서 근무했다.
병원의 재원은 10여명으로 구성된 이사진의 회비와 일반 독지가들의 후원금으로 마련된다. 한 달 평균 30만원 정도의 후원금이 모이고 있다. 후원금은 병원 박사들의 점심식비와 장난감 수리를 위한 공구와 비품을 사는데 쓰인다.
넉넉지 않은 병원 살림살이지만, 키니스 장난감병원은 오는 17일 인천 남구에서 장난감 1천여점을 기증한다. 기증할 장난감은 장난감대여점을 비롯해 시민에게 기증받은 장난감을 수리해서 마련됐다. 형편이 어려운 가정과 다문화 가정, 장애를 가진 어린이들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김 이사장은 “어린이들에게 그 나이에 필요한 장난감을 꼭 챙겨주고 싶어서 병원을 운영하며, 기증도 하고 있다”면서 “어린이 발달 단계에 맞는 장난감을 통해 올바른 놀이문화를 형성하고, 일이 없어 무료한 실버세대에겐 장난감 수리 기술을 전수해 치매 예방 등을 꾀하며 세대 간의 공존을 구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준기자 ky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