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밀집지역 지휘체제 개선
수원고검시대 민간 협력 강조도

신 검사장은 이를 위해 오는 4월 치러지는 국회의원 선거를 비롯해 강력 사건, 사회 지도층 등의 토착비리, 공무원 비리 등에 대한 엄정한 수사 방향을 제시하고 강한 실천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우선 강력사건의 근절과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수원 박춘풍 토막 살인사건과 화성 육절기 살인사건, 수원 PC방 묻지마 살인사건 등 전국을 떠들썩하게 한 강력사건에 대해서는 온 수사력을 동원해 대응과 예방에 각별히 신경을 쓸 예정이다.
특히 관할 지역이 비교적 광범위하고 치안 유지에 어려움이 있는 외국인 밀집지역과 도·농복합지역 등에서 발생하는 강력사건 예방에 큰 관심을 보였다.
신 검사장은 "강력전담 검사가 신속한 수사지휘 체제를 유지하고 우범지대의 치안을 강화하도록 경찰과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며 "특히, 외국인 강력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만큼 수원지역 법사랑위원 산하에 '외국인특별위원협의회'를 구성해 외국인 범죄 예방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사회 지도층 등의 토착 비리와 공무원 비리에 대해서는 검찰의 업무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는 중요 사건은 한 점 의혹 없는 엄정 수사를 강조했다.
특히 공무원 비리와 관련해서는 "불법 청탁·알선 명목 금품수수 행위와 인허가 업무 및 사업자 선정과 관련된 금품수수 행위, 이권 개입 등 직권남용 행위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단속하겠다"고 덧붙였다.
올해 총선에 대비해서도 금품 선거와 거짓말 선거, 불법선전 선거를 3대 중점 단속 대상으로 정하고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오는 2019년 수원고검시대 개막에 대해서도 신 검사장은 "고검 설치로 경기 남부지역 법률시장이 확대되고 지역 주민은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제공받게 됐다. 또한, 항고사건 수사와 민·형사 재판의 항소심을 서울이 아닌 수원에서 진행할 수 있게 돼 절차의 번거로움을 해소해 법률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수원고검 설치가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전 부임지인 전주지검장 시절 정착시켰던 '찾아가는 생활법률서비스'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수요를 파악한 후 도입하겠다고 했다. 도입되면 법률서비스 사각지대가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취미인 등산을 통해 직원들과 함께 건강 유지를 통한 업무 향상에 기여를 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일반 시민과의 소통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신 검사장은 "소수 조직인 검찰에서 무슨 일을 어떻게 제대로 하고 있는지는 국민들에게 가감 없이 소상하게 알려져야 한다고 본다"며 "창구 역할 중 하나인 언론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밝혔다.
/조영상·김민욱기자 donald@kyeongin.com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