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영향력 탓 철거까지 오랜 시간
공동묘지, 이듬해서야 이장 명령
대중일보는 1945년 11월 2일 '말살되는 일본혼' 기사에서 "인천시청이 일본색을 말살하고자 일본인의 신주·신사를 한 곳도 남기지 않고 없애려고 계획 중"이라고 보도했다.
해방 후 3개월이 다 되도록 일제가 만든 신사가 철거되지 않았던 셈이다. 당시 인천지역엔 궁동 인천신사(현 인천여상 자리)를 비롯해 공장과 학교 등 곳곳에 설치돼 있었다고 한다.
인천은 서울 등 다른 대도시에 비해 일본인 비중이 높았고, 해방 직후에도 영향력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당시 인천은 부족한 인프라 속에서 해방 후 중국 등 해외에서 귀환하는 전재동포와 북한지역에서 내려오는 이주민을 감당해야 했는데, 이런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신사들을 철거할 여력이 부족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듬해 4월 보도에서도 인천 신사가 철거되지 않고 인천체육협회 회관 등으로 활용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중구 율목동에 있던 일본인 공동묘지도 해방 이듬해에 들어서서야 이장 명령이 이뤄진다. 대중일보는 1946년 1월 18일 '율목동 묘지 이장명령' 기사에서 "인천시가 세화회에 율목동 공동묘지를 하루바삐 적당한 곳으로 이장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시청에서 결정한 곳에 이장하리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율목동 일본인 공동묘지는 일제 압정 속에선 감이 얼씬도 못 하던 곳이었다고 한다. 특히 당시 인천 신도심의 중앙에 있어 시민들의 눈엣가시였다.
대중일보는 1946년 2월 6일 보도에서 "장차 국제적 무역도시로서 장래가 약속되어 있는 인천의 시가지 계획상에 큰 지장을 일으키게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문제는 미군 당국에서도 일본인들이 전부 철귀하기 전에 해결을 짓게 하도록 선처하기를 요망하는 여론이 매우 넓다"고 촉구했다.
우리가 그토록 염원하던 해방을 맞았지만, 사회 곳곳에 뿌리내린 일제의 흔적을 지우는 일이 쉽지 않았다.
/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