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서하리농산물 공동직판장
광주시 초월읍 서하리 농산물공동직판장이 판매부진탓에 재개장을 거듭, 잠정휴업에 들어가자 청산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

판매부진 등을 이유로 재개장을 거듭하던 광주시의 '서하리 농산물 공동직판장'이 또다시 잠정 휴업에 들어가면서 존립 여부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국비와 도비·시비 등 5억여원을 들여 건립한 '서하리 농산물 공동직판장'이 기한도 정하지 못한 채 지난 7월 또다시 휴업에 들어갔다.

해당 농산물 직판장은 지난 2012년 8월 농림수산식품부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소득기반사업)의 일환으로 초월읍 서하리에 건립됐으며 올해 5년째를 맞고 있다. 이 시설물은 국비 3억5천만원, 도비 4천500만원, 시비 1억500만원 등 총 5억여원이 들어갔으며 서하리 영농조합법인이 운영을 맡아 토마토·채소·산양삼 등 농산물을 판매했으나 개장 직후 판매부진 등의 이유로 문을 닫은 바 있다.

이후 재개장에 재개장을 거듭했으나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개장 첫해인 2012년 1억3천400만원의 매출을 올린 것을 시작으로 2013년 1억4천300만원, 2014년 1억3천500만원, 2015년 1억8천여만원 수준을 유지해오고 있다. 올해는 지난 6월까지 9천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런 가운데 판매가 호전되지 않자 시는 지난 7월 공동직판장 운영권자에 대한 계약을 연장하지 않고 잠정 휴업에 들어갔다.

이현철 시의원은 "막대한 세금으로 만든 농산물직판장이 결국 세금만 낭비하게 되어 청산절차에 들어간 것 아니냐"고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농민들을 중심으로 운영하는 특성상 전문성이 없다 보니 운영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며 "하지만 지역주민들과 활성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해 내년 1년간 다시 한 번 운영을 해보고 이후 용도변경(농림부 승인 필요)이나 다른 대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