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춘제(春節·중국의 설) 관광시즌을 앞두고 한국행 전세기 운항을 불허하면서 한국에 대한 보복조치를 한층 노골화하고 있다.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시해오던 중국 정부는 대(對) 한국 압박 전선을 문화에서 경제, 관광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등 한국의 3개 항공사가 신청한 8개 노선의 다음달 전세기 운항을 중국 당국이 전면 불허한 것은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를 활용한 한국 압박을 본격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6개월간 저가 여행 단속에 나설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방정부를 통해 일부 지역 여행사에 한국행 여행객 수를 20% 줄이라는 구두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상하이 지역의 한 한국계 여행사는 "이달들어 상하이를 출발해 한국을 찾는 아웃바운드 관광객이 작년보다 20∼30% 가량 감소했다"며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도는 '반토막'이 났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환구망이 최근 미국의 허핑턴포스트를 인용해 중국이 유커를 무기로 마찰을 빚고 있는 주변국들에게 '인해전술'을 펴고 있다고 자평하며 유커가 전략적 자원이자 무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드라는 정치적 변수에 따른 중국 당국의 인위적인 여행사 정원 축소 정책과 함께 저가쇼핑을 강요하는 단체관광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불만까지 겹치며 한국행 관광 둔화세가 뚜렷해졌다.
최근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携程)은 보고서를 통해 내년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 이어지는 춘제 연휴 기간 해외여행 인기도시 순위에서 지난해 3위였던 서울이 7위로 내려왔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는 또 중국 당국이 사드 배치에 반발한 일련의 대응 방안을 마련한 다음 시나리오에 따라 차례로 보복조치의 수위를 올려갈 것이라는 관측과도 맞아떨어지고 있다.
상하이의 한 소식통은 "중국이 그동안 '가랑비에 옷 젖듯' 제재를 가해오다 한국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압박 수위를 조절하고 있는 중"이라며 "사드를 서두를수록 제재의 폭과 깊이는 넓고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중국은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등장과 한국내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등에 사드 문제 해결의 모멘텀으로 기대했다가 한미 정부의 움직임에 별다른 변화의 조짐이 보이지 않자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비슷하게 중국의 보복조치를 받고 있는 대만도 올해 들어 중국 관광객이 18.5% 줄었는데 대만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蔡英文) 정부 출범 이후 감소폭은 36.2%에 이르렀다.
이에 비춰 사드 배치시까지 단계적으로 압박해가겠다는 중국의 생각을 간접적으로 읽을 수 있다.
이미 중국은 한국 연예인의 방송출연을 차단하고 한류 드라마의 방영을 금지하는 등 한한령(限韓令)에 이어 경북 성주 롯데골프장이 사드 배치지로 결정된 롯데그룹의 중국내 사업장에 대해 전방위에 걸쳐 위생·소방점검과 함께 세무조사에 나선 상태다.
중국에서 배터리 공장을 가동 중인 삼성SDI와 LG화학은 지난 6월 제4차 전기차 배터리 모범기준 인증에 신청했다가 탈락하는 등 한국 기업에 대한 무형의 불이익 조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 중국에 수출되는 한국 식품, 화장품 등이 반덤핑 규제, 비관세 장벽 등으로 인해 통관이 늦어지거나 수입 불허되며 고전하는 경우도 급증하고 있다.
다만 중국은 이 같은 조치가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조치라고 공식화하지는 않고 있다. 한한령에 대해서도 중국이 공식 문건으로 확인한 바 없으며 이번 한국행 관광 제재도 저가 단체관광의 폐해를 줄인다는 명목을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상하이=연합뉴스
한반도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시해오던 중국 정부는 대(對) 한국 압박 전선을 문화에서 경제, 관광 영역으로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특히 이번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등 한국의 3개 항공사가 신청한 8개 노선의 다음달 전세기 운항을 중국 당국이 전면 불허한 것은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를 활용한 한국 압박을 본격화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중국 당국은 지난달 6개월간 저가 여행 단속에 나설 것이라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지방정부를 통해 일부 지역 여행사에 한국행 여행객 수를 20% 줄이라는 구두 지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상하이 지역의 한 한국계 여행사는 "이달들어 상하이를 출발해 한국을 찾는 아웃바운드 관광객이 작년보다 20∼30% 가량 감소했다"며 "실제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도는 '반토막'이 났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환구망이 최근 미국의 허핑턴포스트를 인용해 중국이 유커를 무기로 마찰을 빚고 있는 주변국들에게 '인해전술'을 펴고 있다고 자평하며 유커가 전략적 자원이자 무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드라는 정치적 변수에 따른 중국 당국의 인위적인 여행사 정원 축소 정책과 함께 저가쇼핑을 강요하는 단체관광에 대한 중국 소비자들의 불만까지 겹치며 한국행 관광 둔화세가 뚜렷해졌다.
최근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인 씨트립(携程)은 보고서를 통해 내년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 이어지는 춘제 연휴 기간 해외여행 인기도시 순위에서 지난해 3위였던 서울이 7위로 내려왔다고 전했다.
이번 조치는 또 중국 당국이 사드 배치에 반발한 일련의 대응 방안을 마련한 다음 시나리오에 따라 차례로 보복조치의 수위를 올려갈 것이라는 관측과도 맞아떨어지고 있다.
상하이의 한 소식통은 "중국이 그동안 '가랑비에 옷 젖듯' 제재를 가해오다 한국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압박 수위를 조절하고 있는 중"이라며 "사드를 서두를수록 제재의 폭과 깊이는 넓고 깊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중국은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등장과 한국내 박근혜 대통령의 퇴진 등에 사드 문제 해결의 모멘텀으로 기대했다가 한미 정부의 움직임에 별다른 변화의 조짐이 보이지 않자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비슷하게 중국의 보복조치를 받고 있는 대만도 올해 들어 중국 관광객이 18.5% 줄었는데 대만 독립 성향의 차이잉원(蔡英文) 정부 출범 이후 감소폭은 36.2%에 이르렀다.
이에 비춰 사드 배치시까지 단계적으로 압박해가겠다는 중국의 생각을 간접적으로 읽을 수 있다.
이미 중국은 한국 연예인의 방송출연을 차단하고 한류 드라마의 방영을 금지하는 등 한한령(限韓令)에 이어 경북 성주 롯데골프장이 사드 배치지로 결정된 롯데그룹의 중국내 사업장에 대해 전방위에 걸쳐 위생·소방점검과 함께 세무조사에 나선 상태다.
중국에서 배터리 공장을 가동 중인 삼성SDI와 LG화학은 지난 6월 제4차 전기차 배터리 모범기준 인증에 신청했다가 탈락하는 등 한국 기업에 대한 무형의 불이익 조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최근 중국에 수출되는 한국 식품, 화장품 등이 반덤핑 규제, 비관세 장벽 등으로 인해 통관이 늦어지거나 수입 불허되며 고전하는 경우도 급증하고 있다.
다만 중국은 이 같은 조치가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조치라고 공식화하지는 않고 있다. 한한령에 대해서도 중국이 공식 문건으로 확인한 바 없으며 이번 한국행 관광 제재도 저가 단체관광의 폐해를 줄인다는 명목을 내세울 가능성이 크다. /상하이=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