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성근 자유한국당 하남시장 예비후보는 10년 이상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한 채 방치되고 있는 미군 공여지 30만 6천㎡에 대해 올해 말까지 답보상태가 계속될 경우, 지금까지 추진됐던 사업방식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14일 밝혔다.
유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하남시의 마지막 남은 '황금의 땅'이라 할 수 있는 하남시 하산곡동 캠프 콜번 터는 2005년 11월 반환되었으나 반환공여지 활성화 방안 및 개발계획이 지지부진해 10년 이상 장기간 방치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2007년부터 시작한 중앙대학교 하남캠퍼스 유치계획도 중앙대 측의 무리한 요구로 6여년의 시간을 낭비하고 말았고, 2014년부터 시작한 세명대학교 제2캠퍼스 유치활동도 당초 5천명 규모에서 2천명으로 줄어들고 주요 학과들이 빠지는 등 유명무실해질 수 있는 위기의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유 후보는 "해당 지역인 제천시와 제천 시민들은 '지역균형발전과 상생협력을 저해한다'는 명분으로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어, 이 같은 반대여론을 아예 모른 체할 수만은 없는 환경이 됐다"며 "더 큰 시각으로는 인구의 감소로 머지않아 비수도권 소재대학교의 절반은 폐교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 상황 속에서, 중앙정부에서 비수도권소재인 세명대학교를 수도권에 허가해주는 일이 과연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수도권 안양소재 성결대학교에서 7천명 규모의 학교전체를 하남시로 이전하고 학교이름도 '하남대학교'로 변경할 수 있다는 파격적인 제안이 들어왔으나 하남시에서 '불가(不可)'통보를 한 바 있다고 유 후보는 설명했다.
그는 "세명대에서 당초 양해각서(MOU)에 제시한 계획을 현저히 축소, 변경할 경우 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주민들과의 대화, 의견수렴 후, 업무협의 백지화 등 강력한 조치를 검토하고 성결대학교가 다시 제안해 올 경우 '거부가 아닌 보류'로 하는 등 하남시에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연말까지 세명대 하남 이전 협상 진도가 지지부진할 경우, 세계적인 해외대학 분교유치, 대기업 유치 및 종합병원 유치로 경기 동부권 의료허브로서의 발돋움 등 하남시의 마지막 황금의 땅 활용에 다각적이고도 유연성있는 대응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유 후보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하남시의 마지막 남은 '황금의 땅'이라 할 수 있는 하남시 하산곡동 캠프 콜번 터는 2005년 11월 반환되었으나 반환공여지 활성화 방안 및 개발계획이 지지부진해 10년 이상 장기간 방치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2007년부터 시작한 중앙대학교 하남캠퍼스 유치계획도 중앙대 측의 무리한 요구로 6여년의 시간을 낭비하고 말았고, 2014년부터 시작한 세명대학교 제2캠퍼스 유치활동도 당초 5천명 규모에서 2천명으로 줄어들고 주요 학과들이 빠지는 등 유명무실해질 수 있는 위기의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유 후보는 "해당 지역인 제천시와 제천 시민들은 '지역균형발전과 상생협력을 저해한다'는 명분으로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어, 이 같은 반대여론을 아예 모른 체할 수만은 없는 환경이 됐다"며 "더 큰 시각으로는 인구의 감소로 머지않아 비수도권 소재대학교의 절반은 폐교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는 상황 속에서, 중앙정부에서 비수도권소재인 세명대학교를 수도권에 허가해주는 일이 과연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수도권 안양소재 성결대학교에서 7천명 규모의 학교전체를 하남시로 이전하고 학교이름도 '하남대학교'로 변경할 수 있다는 파격적인 제안이 들어왔으나 하남시에서 '불가(不可)'통보를 한 바 있다고 유 후보는 설명했다.
그는 "세명대에서 당초 양해각서(MOU)에 제시한 계획을 현저히 축소, 변경할 경우 법적인 테두리 내에서 주민들과의 대화, 의견수렴 후, 업무협의 백지화 등 강력한 조치를 검토하고 성결대학교가 다시 제안해 올 경우 '거부가 아닌 보류'로 하는 등 하남시에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연말까지 세명대 하남 이전 협상 진도가 지지부진할 경우, 세계적인 해외대학 분교유치, 대기업 유치 및 종합병원 유치로 경기 동부권 의료허브로서의 발돋움 등 하남시의 마지막 황금의 땅 활용에 다각적이고도 유연성있는 대응을 하겠다"고 덧붙였다.
하남/문성호기자 moon23@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