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방송 출연 중 자녀들의 '난입'으로 '방송사고'를 낸 뒤 일약 스타가 된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가 최선을 다해 상황을 수습한 아내에게 고마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생방송 출연 중 자녀들의 '난입'으로 '방송사고'를 낸 뒤 일약 스타가 된 로버트 켈리 부산대 교수는 14일 CNN 방송, 영국 BBC 방송 등과의 인터뷰에서 "평소와 달리 방문을 자금지 않은 제 탓이다. 몹시 당황했지만 아이들이 제게 오는 것을 편안하게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지난 10일 켈리 교수의 아내 김정아 씨는 남편의 인터뷰 방송을 휴대전화로 촬영하고 있다가 자신의 곁에 있던 4살 딸과 보행기를 탄 8개월 아들이 연달아 화면에 등장하는 모습을 보고 경악했다.
김씨는 방으로 달려가 아이들을 제지했지만, 때는 이미 늦었다.
켈리 교수는 "그날 딸이 유치원에서 생일 파티를 해 무척 신이 났다"면서 딸에 이어 아들까지 방으로 들어오는 순간 "이제 다 끝났다는 것을 알았다"고 말했다.
켈리 교수는 집에서 방송 인터뷰를 할 때마다 방문을 잠그지만 이날은 방문을 잠그는 것을 깜빡했다.
김씨는 "아이들이 방문이 잠겨 있으면 내게 다시 돌아오는데 이날은 오지 않았다. 방문이 열려있는 것을 보고는 혼란에 빠졌다"고 말했다.
방송이 끝난 뒤 부부는 이제 다시 출연 요청이 들어오지 않을 수도 있다며 최악의 상황을 우려했지만 아이들을 혼내지는 않았다.
켈리 교수는 "영상을 보면 내가 웃음을 참으려고 애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이고, 그게 바로 아이들의 행동이다. 너무 귀엽다"며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아내가 정말 최선을 다해 수습을 해줬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김 씨는 일부 서구 언론이 자신을 '보모'로 보도한 것을 두고 인종 편견 논란이 인 데 대해 "사람들이 논란을 벌이지 말고 그냥 편하게 즐겼으면 좋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방송이 끝난 뒤 부부의 예상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켈리 교수는 BBC 측에 사과의 편지를 보냈는데 약 15분 뒤 BBC는 오히려 인터뷰 영상을 인터넷에 올려도 되겠느냐고 물었다.
처음 부부는 아이들이 웃음거리가 될까 걱정돼 정중히 거절됐지만, BBC의 설득에 결국 요청을 받아들였다.
이 영상은 BBC 페이스북 페이지에서만 1억 번에 가까운 조회수를 기록했고, 전 세계 언론에 보도됐다.
켈리 교수는 "방송 직후 한국, 미국 등 언론사의 인터뷰 요청이 쏟아져 휴대전화를 '비행 모드'로 전환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켈리 교수 부부는 국내 언론의 인터뷰 요청이 쇄도하자 14일 오후 부산대에서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강효선기자 khs77@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