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501001112900053691
이대연 영화평론가
깎아지른 벼랑이다. 그 아래로 파도가 넘실거린다. 생전 들어보지 못한 '타스마니아'라는 섬의 해안절벽 끝에 그가 서있다. 한때 잘 나가는 증권회사 지점장이었으나 지금은 도로가 끝났음을 알리는 표지판을 넘어 이곳에 있다.

그는 상부의 지시로 고객들에게 부실채권을 판매했고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자 바닥에 무릎을 꿇고 사죄하다가 뺨까지 맞았다. 그리고 모든 것을 잃었다. 극단적 상황에서 아내와 아이가 있는 호주로 훌쩍 떠난 여행은 되돌아보지 못했던 가족과 삶에 대한 성찰로 그를 이끌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호주의 낯선 해식의 끝에 서있을 뿐이다.

'싱글라이더'는 과묵하다. 말없이 아내 수진(공효진)의 일상을 맴도는 재훈(이병헌)을 뒤쫓는 카메라는 시종 차분하고 담담하다. 자칫 지루할 수도 있는 무덤덤함을 채우는 것은 호주의 아름다운 풍경이다. 그러나 여행자는 이국의 풍광에 녹아들지 못한다.

한 순간에 모든 것을 잃었기 때문이 아니다. 좌절로 인한 상심 때문도 아니다. 결국 잃고 말 것들을 얻기 위해 그가 버려야 했던 것들 때문이다. 아내와 아이의 일상 속에 그가 끼어들 자리는 없었고, 호주가 아니라 한국이라 하여도 그의 삶은 겉도는 이방인에 불과했을 것이다.

워킹홀리데이를 통해 번 돈을 환전사기로 모두 빼앗긴 지나를 통해 재훈은 자신이 고객들에게서 빼앗은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자신이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깨닫는다.

"새벽 다섯 시에 버스를 타보면 게을러서 가난하다는 말 다 개소리"라며 울먹이는 지나의 말은 이 잔잔한 영화가 던지는 메시지의 진폭을 크게 만든다. 광고 감독 출신인 이주영 감독의 영상은 수려하고 질감이 부드럽다. 배우들의 안정적인 연기도 돋보인다.

그러나 후반의 반전은 서사적인 측면에서나 영화적 효과라는 측면에서나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한 듯하다. 반전에 대한 강박 때문에 중간 중간 흐름이 튀는 것도 흠이다.

감정의 결을 쌓아올리는 것만으로도 좋았을 거라는 아쉬움을 지울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급하고 정신없이 살아가는 일상의 틈바구니 속에서 한 번 쯤 삶을 관조하는 시간을 갖게 만드는 영화임에는 분명하다.

/이대연 영화평론가 (dupss@na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