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에 봉안시설과 추모기념관 등이 포함된 '4·16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화랑유원지 등 5개 추모시설 후보지 중 안산지역 주민 간 민-민 갈등 등을 우려해 최종 입지(장소)를 선정하지 못했다.
'4·16 세월호 참사 안산시 추모사업 협의회(위원장·제종길, 이하 안산추모협)'는 지난달 30일 제16차 정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최종 추모사업 내용을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협의회 보고문에 따르면 안산추모협은 세월호 참사의 아픔을 극복하고, 공감과 소통의 장을 마련키 위해 추모시설인 가칭 '4·16 안전공원'을 안산에 건립키로 했다.
'4·16 안전공원'은 안전교육장과 예술공원 등 생명과 안전존중을 일깨우는 시민 친화적 문화·복합 공원으로 조성해 관광명소로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안전공원내 추모기념관과 기념비는 기억공간·물품보관소와 영상관, 기록물, 4·16 재단사무실 등이 들어서게 된다.
특히 안산추모협은 추모공원 내 지하화나 예술적인 형태로 자연 친화적인 봉안시설도 함께 조성키로 결의했다. 그러나 봉안시설이 함께 들어설 '4·16 안전공원'의 건립 장소로 화랑유원지 내 미조성부지와 하늘공원, 단원고 뒷산 등 5개 후보지를 검토했으나 의견수렴 과정에서 대규모 민-민 갈등을 우려해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에 안산추모협은 '4·16 안전공원'과 관련해 중앙정부(국가)에 국책사업인 '추모공원' 조성에 따른 예산규모의 확정 등 구체적인 계획 수립과 안산지역사회에 대한 지원대책, 주민들과의 책임 있는 소통과 대화의 장 마련을 공식 건의키로 했다.
시 관계자는 "국책사업인 '4·16 세월호 참사 추모시설'의 구체적인 사업규모 등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산추모협에서 추모시설 입지 등을 결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이젠 중앙정부가 나서서 구체적인 세월호 참사 추모계획을 세우는 대로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산/전상천기자 junsch@kyeongin.com
4·16 안전공원, 안산에 짓는다
추모협, 봉안시설도 함께 조성 결의
민-민 갈등 우려 최종 입지 미선정
입력 2017-07-02 20:29
수정 2017-07-02 20:29
지면 아이콘
지면
ⓘ
2017-07-03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