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城南] 오존 오염의 주범인 질소산화물, 탄화수소 등의 배출량이 적고 매연이 없는 을 내뿜지 않는 압축천연가스(CNG) 사용 시내버스 도입계획을 추진해온 성남시가 충전소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는 등 준비소홀로 졸속행정이라는 지적이다.
25일 시에 따르면 천연가스 사용 버스 도입을 위해 업계 지원예산 297억원을 확보했으나 천연가스 가격 결정, 충전소설치 등 사전분비가 않돼 사실상 올해안에 도입하기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시는 당초 충전소 부지로 사용하려 했던 중원구 상대원동 영종여객 차고지 매입을 아직까지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부지 매입은 해당사인 경기교통이 부담해야 하나 회사 사정이 여의치 못해 사업추진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시는 차선책으로 공용차고지를 물색하고 있지만 충전소를 위험시설로 보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해 아직까지 공론화 단계를 거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천연가스 시내버스가 기존 시내버스보다 4천만원이상 비싼 대당 8천만원을 호가해 시 지원비를 받더라도 버스업체가 추가로 상당액을 부담해야하는데다 외국에서 수입해야하는 충전기의 통관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돼 올해는 사업추진이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천연가스 시내버스 구입시 1대당 850만원씩을 업체에 지원, 올해 총 60대의 천연가스 시내버스를 확보하려던 시 계획이 사실상 백지화됐으며 시 방침에 따라 시내버스 구입계획을 세운 경기교통 등 버스업계도 차질을 빚게 됐다.
시는 지난해말부터 환경부의 지침을 받아 올해 60대 등 오는 2007년까지 모두 370대의 천연가스 시내버스를 도입하고 충전소는 추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추진해 왔다.
한편 경기도는 올해 국비와 지방비를 포함해 총 45억원의 예산으로 성남을 비롯, 수원(100대), 의정부(30대), 광명(25대), 안양(20대), 부천(20대), 하남(15대)등 7개시에 CNG버스 270대를 도입 운영할 계획이다.
/金炯權기자.tomy@kyeongin.com
CNG사용 시내버스 도입계획차질
입력 2000-05-26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0-05-26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