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_7439

2017071601001023800049712
"사회복지서비스 향상은 양주시가 중견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 이뤄야 할 과제입니다. 올해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기반을 다지는 해로 많은 투자가 이뤄져 복지서비스가 시민에게 골고루 미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출 겁니다."

이성호(사진) 시장은 이를 '감동 복지 실현'이라 부르며 "양주시 사회복지서비스의 획기적인 변화를 이루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다양한 복지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수요를 발굴해 복지자원을 골고루 안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조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이 말한 조직은 맞춤형 복지사업을 위한 조직으로 지자체와 공공·민간단체가 협력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시는 우선 읍·면·동별로 사회복지인력을 배치해 수요발굴에 나서고 지역의 각종 사회복지조직과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 시장은 "복지수요가 밀집된 곳에 사회복지 거점을 건설해 복지자원의 중계와 수요 발굴, 지역 사회복지 연계망 구축 등의 역할을 하도록 할 것"이라며 "촘촘한 그물망 식으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사회복지서비스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게 아니라 도시와 농촌이 공존하는 양주지역 특성에 맞는 공급 방식을 찾겠다는 것이다. 지난해부터 추진하는 복지 허브화도 같은 맥락이다.

이 시장은 "다양한 민간조직과 힘을 합쳐 복지서비스를 수요에 맞게 적절히 제공하는 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양주/최재훈기자 c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