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고덕면 두릉리의 독립운동가 민세 안재홍(1891∼1965년) 선생 생가가 '숙부가 살던 가옥'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92년 당시 생가 지정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사) 민세 안재홍 선생기념사업회는 14일 후손들의 증언을 토대로 1992년 12월 31일 경기기념물 제135호로 지정된 생가(두릉리 646)는 안재홍 선생의 숙부(안태섭)가 살던 주택이라고 설명했다.
이 집은 안재홍 선생이 1913년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 후 귀국해 살던 곳으로 일각에선 안재홍 선생이 결혼 후 이 주택에서 생활은 했지만, 생가는 아니다 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후손들과 안재홍 선생 생가터 주변 주민들에 따르면 실제 생가는 이곳(두릉리 646)에서 직선 거리로 50m 떨어진 두릉리 611의 1∼2로, 안 선생의 아버지와 친척들이 함께 살던 집이라는 것.
현재 안 선생의 아버지가 살던 생가터의 본채는 대부분 훼손됐고, 행랑채와 우물터만 남아있는 등 폐허로 변했으며 건축 자재을 쌓아놓은 채 방치되고 있다.
친척들이 살던 611-2번지는 그나마 원형이 보존 돼 있다. 기념사업회는 지난해 고덕 국제신도시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LH에 이런 사실을 알려 현 생가와 새로운 주장이 나온 생가터 등을 모두 존치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10월 26일에는 평택시 등의 후원으로 문화재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고덕국제신도시 민세 안재홍 실재 생가의 문화재 지정 필요성과 활용방안' 학술 대회를 계획하고 있다.
(사) 민세 안재홍 선생기념사업회는 14일 후손들의 증언을 토대로 1992년 12월 31일 경기기념물 제135호로 지정된 생가(두릉리 646)는 안재홍 선생의 숙부(안태섭)가 살던 주택이라고 설명했다.
이 집은 안재홍 선생이 1913년 일본 와세다대학 유학 후 귀국해 살던 곳으로 일각에선 안재홍 선생이 결혼 후 이 주택에서 생활은 했지만, 생가는 아니다 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후손들과 안재홍 선생 생가터 주변 주민들에 따르면 실제 생가는 이곳(두릉리 646)에서 직선 거리로 50m 떨어진 두릉리 611의 1∼2로, 안 선생의 아버지와 친척들이 함께 살던 집이라는 것.
현재 안 선생의 아버지가 살던 생가터의 본채는 대부분 훼손됐고, 행랑채와 우물터만 남아있는 등 폐허로 변했으며 건축 자재을 쌓아놓은 채 방치되고 있다.
친척들이 살던 611-2번지는 그나마 원형이 보존 돼 있다. 기념사업회는 지난해 고덕 국제신도시 택지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LH에 이런 사실을 알려 현 생가와 새로운 주장이 나온 생가터 등을 모두 존치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10월 26일에는 평택시 등의 후원으로 문화재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고덕국제신도시 민세 안재홍 실재 생가의 문화재 지정 필요성과 활용방안' 학술 대회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안재홍 선생 현 생가가 1992년 12월 31일 경기기념물 지정을 앞두고 벌인 여러 검증 작업에 문제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여론도 만만치 않아 철저한 확인 작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평택시 관계자는 "92년 당시 안재홍 선생 생가 경기기념물 지정 과정에서 어떤 검증작업이 이뤄졌는지, 확인 할 계획이며 학술대회에서 나온 결과를 토대로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민세 안세홍 선생의 생가는 매년 광복절을 앞두고 국민들이 생가를 방문, 독립을 위해 목숨을 걸고 싸웠던 선열들을 추모하는 곳이지만, 공사현장 주변에 있어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안재홍 선생은 일제 강점기 당시인 1919년 3.1 만세 운동에 참여했고, 대한청년외교단을 조직, 상하이 임시정부와 연락하다가 체포돼 3년간 투옥당하는 등 언론·교육활동을 통한 민족계몽과 독립 운동에 일생을 바쳐왔다.
평택/김종호기자 kikj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