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文정부 '일 창출' 핵심정책 포함
9개 기관 TF팀 구성 해법 노력
한양대 중심 첨단연구단지 조성
반월·시화산단 리모델링 탈바꿈
법령 개정 지정조건 완화 과제
"지방·수도권 상생협력모델로"

하지만 안산 '사이언스 밸리'연구개발 특구 지정의 조건 완화와 특구 운영 주체 선정에 대한 중앙정부의 창조적 결단이 선결되는 것이 관건이어서 경기도와 안산시, 한양대 등의 네트워크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표 참조


= 안산 사이언스 밸리 조성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27일 안산시와 경기테크노파크 등에 따르면 경기도와 안산시는 지난 2009년부터 경기도테크노파크 등 연구기관이 대거 자리 잡고 있는 안산시 사동 일원을 R&D 특구로 지정키 위해 추진해 왔으나 중앙정부의 '선지방발전'이란 수도권 역차별 정책에 막혀 답보상태를 면치 못했다.
안산 사이언스 밸리(Ansan Science Valley·234만8천574㎡)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LG이노텍, 경기테크노파크,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가 선포한 공동브랜드다.
더불어민주당 전해철 의원과 제종길 안산시장 등이 지난 대선 때 문재인 당시 대통령 후보의 주요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한 결실로, 새 정부 들어서 안산 사이언스 밸리 조성사업이 '일자리 창출'을 위한 핵심 산업정책에 포함됐다.
그 결과 소극적 입장을 피력해 오던 미래부는 안산을 수도권 내 유일한 R&D 특구로 지정하는 것을 허용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안산시, 한국해양과학기술원·농어촌연구원·고대안산병원 등 9개 참가 기관들은 TF팀을 구성, 조속한 시일 내에 특구지정을 위한 해법을 강구하고 있다.
■ '4차 산업혁명 연구단지…반월·시화 리모델링 전제'
= 안산 사이언스 밸리는 한양대학교를 중심으로 4차산업 혁명 연구단지로 조성된다. 이를 위해선 기존의 사이언스 밸리 참가기관의 연구·개발 기능 강화와 첨단 연구·지원시설의 대대적인 확충이 필요하다.
이는 안산 사이언스 밸리가 R&D 특구로 지정되면 국·공립 연구기관뿐 아니라 기업 부설 연구소에 대한 안정적 연구재원 확보(국비 지원)와 세제지원(국·지방세 감면) 등이 가능해 짐에 따라 국내외 유수 R&D 기관 유치가 쉬워져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안산 사이언스 밸리에 입주 연구기관이나 기업연구소의 연구성과를 구현하거나 상용화하기 위해 반월·시화산업단지 등 인근 제조업단지가 첨단산업집적지로 탈바꿈되는 게 전제돼야 한다.
오는 2020년까지 안산에 스마트제조혁신센터 기반 구축을 토대로 '제조혁신 실증 클러스터'를 조성해 스마트공장 관련 기술의 효과성, 시장성 등을 검증해 기업혁신을 도모해야 한다.
그 결과, 노후화된 시설과 시대에 뒤떨어진 기술로 인해 국제경쟁력을 잃어버린 기업들에 첨단기술을 이전해 줌에 따라 감소하고 있는 일자리 수십만 개를 창출시키고, 더 나아가 안산을 4차 산업혁명의 중심으로 탈바꿈시켜 나가는 효과가 수반될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사이언스 밸리에서 일하거나 유치해야 할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R&D 전문 인력을 위해 안산을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도시로 구현해 나갈 방침이다.
■ 'R&D 특구 지정 조건 완화…운영 주체 누가 하나가 과제'
= 안산 사이언스 밸리가 R&D특구로 지정받기 위해선 관계 법령의 개정을 통해 특구 지정 조건의 완화를 도출하는 게 과제다.
경기테크노파크는 R&D특구 지정을 위한 대학과 연구기관 규모 등을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연구개발특별법 시행령 개정이 이뤄지면 특구 지정·추진이 가능하다고 내다보고 있다. 즉 안산 사이언스 밸리 특구 지정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한편 일자리 창출을 꾀하는 일거양득의 정책을 추진하려는 현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
또 경기도와 안산시 등 지자체 주도의 특구지정 추진을 위해선 연구개발 특구 진흥재단 중심의 운영 규정을 바꿔야만 한다. 안산 사이언스 밸리 운영 노하우를 쌓고 있는 경기테크노파크가 R&D 특구를 맡아서 발전시킬 수 있도록 제도적 틀을 만들어 줘야만 한다.
안산 제종길 시장은 "미래부에서 연구개발 특구 특별법 시행령을 개정하면 안산 사이언스 연구개발 특구 지정이 가능할 것"이라며 "특구지정이 되면 지방은 기초연구, 수도권은 사업화 및 수출기반 조성에 중심을 두고 운영, 지방과 수도권의 상생협력모델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산/전상천기자 juns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