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송도 송도컨벤시아 2단계공사1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건설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 송도컨벤시아 2단계 공사 현장. 인천경제청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효과로 서비스산업 기반시설 확충 및 질적 향상과 마이스 산업 활성화로 지역·국가경제 활성화 등을 내세우고 있다. /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

연면적 6만4천㎡에 사업비 1542억원
900개이상 부스확보 '국제회의' 가능
BTL방식 민간사업 20년 임차료 해법
'국가적 성격' 정부차원 원조 있어야


2017090301000094400003722
인천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이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이 사업은 미래형 고부가가치 산업인 '마이스'(MICE, 회의·관광·전시·이벤트)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다.

문제는 운영비(임차료)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사업은 건립 목적과 효과 측면에서 '국가적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인천경제자유구역청 입장이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내년 7월 준공

인천경제청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을 내년 7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2단계 사업은 송도컨벤시아 1단계 시설 옆에 연면적 6만4천㎡ 규모의 컨벤션센터를 짓는 것으로, 이 사업이 완료되면 송도컨벤시아 전체 연면적이 11만7천27㎡로 확대된다. 2단계 주요 시설은 전시장, 회의장, 다목적 광장, 야간 경관조명 등이다. 총 사업비는 1천542억원이다.

2단계 공사는 예비타당성 조사, BTL(임대형 민자사업) 한도액 확정, 사업시행자(더송도컨벤시아 주식회사) 지정 등을 거쳐 2015년 12월 시작됐다.

지난달 말 기준 공정률은 50.2%로,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공정률을 올해 말까지 '7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것이 인천경제청 목표다. 10월부터는 실내인테리어 등 마감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사업은 인천과 대한민국의 도시·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송도컨벤시아는 2단계 사업으로 900개 이상의 부스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1단계 시설은 전시 부스를 450개밖에 설치할 수 없어서 대형 행사 개최에 한계가 있었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2천 명 이상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국제회의를 유치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또 "판매시설과 다목적 광장 등 편익시설 설치로, 방문객이 늘고 이들의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예상했다. 다목적 광장은 야외음악회와 옥외 조형물 전시회 등을 열 수 있는 공간이다.

인천경제청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효과로 ▲서비스산업 기반시설 확충 및 질적 향상 ▲상징성(랜드마크) 강화 및 송도국제업무지구 홍보시설 구축 ▲마이스 산업 활성화로 지역·국가경제 활성화 등을 내세우고 있다.

■인천경제청 "2단계 임차료 국비 지원 필요"

송도컨벤시아 2단계는 BTL 사업이다. BTL은 민간이 공공시설을 지으면 국가나 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일정 기간 임차하는 방식이다. 송도컨벤시아 임차 기간은 20년(2018~2038년)으로, 임차료 지급을 위해선 국비 지원이 필요하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은 2010년 10월 기본계획 수립 당시 재정사업으로 계획됐으나, 관계 기관·부처 협의 과정에서 BTL 방식으로 변경됐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사업을 BTL 방식으로 추진하는 안건(임대형 민자사업 한도액안)은 2014년 1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당초 국가사업으로 제출·추진했으나, 국고 보조 지자체사업으로 수정 의결됐다. 국회가 BTL 방식을 승인하고, 정부가 국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한 셈이다.

인천경제청은 '지역발전특별회계 경제발전계정'에 송도컨벤시아 2단계 임차료를 편성해달라고 산업자원통상부와 기획재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중앙부처는 '지역발전특별회계 생활기반계정'에서 2단계 임차료를 확보하라는 입장이다.

생활기반계정은 정부가 지역발전을 위해 각 지역에 주는 것이며, 경제발전계정은 중앙정부가 별도로 지원하는 예산이다. 중앙부처 입장대로 생활기반계정에서 송도컨벤시아 2단계 임차료를 확보하면, 다른 사업에 추진할 국비가 그만큼 줄어드는 것이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시설 임차료 지급을 위해선 당장 내년에 36억원, 2019년부터는 72억 원의 국비가 필요하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2단계 사업은 GCF(녹색기후기금) 유치 당시 정부와 국회에서 국비 지원을 승인한 사업"이라며 "송도 입주 국제기구의 국제회의를 지원하는 시설로, 국가적인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생활기반계정의 한도액 증액 없이 이 계정에서 임차료를 확보하라는 것은 실질적인 국비 지원이 아니다"며 "생활기반계정에서 20년간 매년 72억원을 쓸 경우, 다른 사업을 추진하는 데 한계가 발생한다"고 했다.

송도를 '서비스 산업의 허브 도시'로 만들겠다는 정부의 계획은 유효하다. 마이스 산업 육성이 일자리 창출, 외국인투자 촉진, 무역 증대 등 국가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는 점도 인천경제청은 강조하고 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