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트럴파크서 출발해 다시 돌아오는 코스
트라이볼·G타워 지나 동북아무역센터로
공원·해수로·건물들… 이국적 색채 물씬

바닷가 끼고 들어선 연구시설·대학
멀리 인천대교·바이오산업교 '장관'
경사·굴곡없는 코스 신기록 기대감


2017091101000647000029723
'2017 인천송도국제마라톤대회'가 오는 24일 오전 9시 송도국제도시에서 열린다. 인천송도국제마라톤대회는 송도국제도시 '빌딩 숲'을 달리며 기량을 마음껏 발휘하는 행사로 국내외 엘리트 선수, 전국 마라톤 동호회 회원, 일반 참가자 등이 함께하는 대회다.

엘리트와 마스터즈(풀, 하프, 10㎞, 5㎞) 각 코스는 기록 수립에 적합하게 설계됐다. 코스를 달리다 보면 송도국제도시의 발전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인천송도국제마라톤대회 코스 주변에 어떤 건축물과 시설이 있는지 소개한다.

송도국제도시를 알고 마라톤을 즐기자는 취지에서다. 인천시와 인천관광공사에서 만든 인천관광 안내 자료 '인천관광 100+!' 등을 참고했다.

송도  센트럴파크1

인천송도국제마라톤대회 출발점과 도착점은 송도 센트럴파크 부근이다. 오전 9시 출발이다. 참가자들은 옷을 갈아입거나 가벼운 운동으로 몸을 풀어야 하기 때문에 1시간 정도 일찍 행사장에 오는 것이 좋다. 센트럴파크는 송도의 허파와 같은 녹지 공간이다.

3.6㎞ 해수로를 따라 수상택시가 공원을 가로지르며, 공원 주변에는 산책로가 조성돼 있다. 마라톤대회가 끝난 뒤 센트럴파크에서 가족 또는 직장 동료들과 여유를 즐겨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센트럴파크 주변에는 인천 개항과 근대화의 시작이 된 인천을 모티브로 한 '해돋이공원', 한국 전통식 정원 형태를 보여주는 '미추홀공원'도 있다.

송도 센트럴파크 호텔 옆에서 출발해 뛰다 보면 오른쪽에 특이한 모양의 건축물이 보인다. '트라이볼'과 'G타워'다. 트라이볼은 도자기 모양의 독특한 외형으로, 아래가 좁고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는 구조다. 독특한 외형 때문에 CF와 화보 촬영지로 인기를 끌고 있다.

G타워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GCF(녹색기후기금) 등이 입주해 있는 건물이다. 전망대에 올라가면 센트럴파크 등 송도국제업무지구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사장교 '인천대교'를 한눈에 볼 수 있다.

G타워를 지나면 오른쪽에 갈대숲이 펼쳐진다. 10㎞ 코스 참가자들은 인천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 행사장으로 유명한 '달빛공원'을 한 바퀴 돌고 나온다. 펜타포트 록 페스티벌을 한 번이라도 관람한 참가자라면 색다른 느낌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0㎞ 코스 참가자들은 달빛공원을 나와 풀·하프·5㎞ 코스에 합류해 동북아무역센터를 향해 뛰게 된다. 동북아무역센터는 지하 3층, 지상 68층, 높이 305m, 연면적 19만5천220㎡ 규모다. 2006년 8월 착공해 2014년 6월 완공된 송도의 핵심 랜드마크다.

대우인터내셔널, 포스코A&C, 호텔 등 많은 기업이 입주해 있다. 넓은 공원과 해수로를 배경으로 우뚝 솟은 모습이 이국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코스는 송도컨벤시아 인근 사거리에서 '투모로우시티'를 향하게 된다. 2008년 10월 개관한 송도컨벤시아는 매년 수십 건의 전시회와 수백 건의 컨벤션·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대형 행사를 유치하기 위해 2단계 건립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투모로우시티는 지하 2층, 지상 6층짜리 복합시설물이다.

2009년 7월 완공됐지만, 소송 때문에 2011년부터 운영이 중단됐다. 인천경제청은 투모로우시티 활성화 방안을 마련,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홍보·체험장' '복합환승센터' '주민 문화·휴식 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투모로우시티 다음에 기다리는 시설은 '아트센터 인천'이다. 인공호수 옆에 건립된 '아트센터 인천'은 클래식 전용 콘서트홀을 갖추고 있다. 건립 공사는 완료됐으나, NSIC(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 주주사 간 갈등 문제로 개관이 지연되고 있다.

코스가 송도국제업무지구를 빠져나오면 해안도로가 펼쳐진다. 해안도로 왼쪽에는 2015년 프레지던츠컵이 열린 잭 니클라우스 골프클럽, 인기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촬영지였던 인천대 송도캠퍼스가 있다. 오른쪽은 바닷가다. 인천 신항과 송도 LNG기지, 날씨가 좋은 날에는 인천대교 일부를 조망할 수 있다.

풀 코스는 바이오산업교(송도4교)를 통해 남동국가산업단지 안까지 들어간다. 안말사거리에서 송도국제도시로 되돌아오는 코스로, 다리를 건너야 하기 때문에 오르막과 내리막이 있다. 해안도로를 따라 송도에서 남동국가산업단지를 향해 달리면서 보면 바이오산업교가 마치 '흰색 탑'처럼 보인다.

풀 코스 참가자들은 송도로 되돌아와 도착점을 향해 달리면서 연세대 캠퍼스, 인천글로벌캠퍼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송도에 입주해 있는 교육기관·바이오기업을 만나게 된다.

인천글로벌캠퍼스 조성사업은 세계 유수의 글로벌 명문대학을 유치해, 인천을 '동북아 교육 허브'로 만드는 것이다. 한국뉴욕주립대, 한국조지메이슨대, 유타 아시아 캠퍼스, 벨기에 겐트대 등이 입주해 있다. 송도에는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바이오기업이 입주해 있다.

이들은 세계 시장 점유율을 높여나가면서 송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인천시와 인천경제청은 송도에 세계 최고의 글로벌 바이오클러스터를 조성·육성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인천송도국제마라톤대회 코스는 기록 경신에 적합하다고 한다. 인천송도마라톤조직위원회 관계자는 "도심 속 코스이기 때문에 땅이 평평하고 굴곡이 거의 없다"며 "안전하고, 기록 경신에 매우 유리하게 설계돼 있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