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동부동장 맡아 공직생활 '첫 발'
노점상 계도·장마철 굴포천 범람 애먹어
10년뒤 인천기독병원 사무장으로 새출발
지역 첫 CT 도입 등 '대표 의료기관' 성장
병원비 비싸 진료 못받던 환자들 안타까워
1982년 세광병원 창설멤버로 참여하기도


2017110701000448100020302
함경남도 단천 출신 전진성(88) 할아버지는 30여 년간 인천의 동사무소 행정과 의료 현장 최일선에서 일한 흔치 않은 경력을 갖고 있다.

특히 인천 최초의 민간 종합병원으로 볼 수 있는 인천기독병원(중구 율목동)에서 사무장(총무과장)으로 일하다가 인천세광병원(남구 주안동) 창설 과정에 참여한 할아버지는 1970~80년대 인천 지역의 의료환경을 더듬어 볼 수 있게 하는 '기억의 창'이기도 하다.

인천지역의 의료사가 체계적으로 정리돼 있지 않은 현실에서 할아버지의 오랜 기간 의료행정 경험은 소중한 사료가 된다.

10월30일 연중기획 실향민 전진성 할아버지 (9)
전진성 할아버지가 이북5도민회 인천지구 함경남도민회 회장으로 받은 대통령 포장증을 가리키고 있다.

할아버지는 처음에는 동 사무소 동장으로 행정 일을 시작했다. 1961년 부평1동 동부동(현 부평4동)에서 별정직 공무원으로 일했다. 동부동은 부평시장 등 상권이 발달해 1960년대 부평에서 가장 인구가 많았다.

할아버지는 "다른 동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동부동이 컸다"며 "직원 수도 훨씬 많았다"고 말했다. 부평사편찬위원회가 지난 2007년 발행한 '부평사'를 보면 1962년 12월 경기도 인천시 부평출장소 관할인 부평1동 동부동은 면적이 2.253㎢이었고, 3천121가구, 인구수가 1만6천857명이었다.

부평 지역 다른 동에 비해 압도적으로 인구가 많았다. 부평시장은 1962년 공설상설시장으로 설치됐고, 계속해 번창해 1971년 5월에는 사설시장인 부평자유시장으로 바뀌었다. 1970년대 부평자유시장의 대지 면적은 1천201㎡, 건평이 1천756㎡, 점포 수가 47개였다.

부평시장의 경우 미군부대와 연결돼 있었고, 1973년 미군이 대대적인 철수를 한 뒤에도 부평수출공단의 근로자들이 주로 이용하면서 성황을 이뤘다. 휴일이나 명절 때면 '궤짝에 돈을 담기 바빴을 정도'로 1970년대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당시 동 사무소 동장은 새마을운동이나 예비군, 민방위 등을 관리하는 것이 주요 업무였는데, 동네에서 일어나는 각종 문제도 챙겨야 했다. 할아버지는 1960년대 초중반 동부동장을 지냈다. 이때 시장 길가를 따라 즐비하게 늘어선 노점상 문제가 심각해 골머리를 앓았다.

당시 노점상으로 인해 자동차는 물론이고 사람의 통행도 어려울 정도였는데, 상인들의 반발이 거세 단속도 어려워 이들을 '계도'하는 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할아버지가 떠난 뒤에도 부평시장 노점상 문제는 심각했던 모양이다.

경향신문 1971년 8월 27일자에는 부평시장 노점상인 500여 명이 철거하러 나온 인천시 북구청 직원 80여 명과 경찰관 50여 명에게 돌을 던져, 10여 명이 중경상을 입었다는 기사가 실렸다. 할아버지는 1960년대 중후반에는 부평1동 서부동장으로 활동했는데, 이때는 장마철이면 굴포천이 범람해 직접 모래포대를 쌓는 일까지 해야 했다.

2017110701000448100020304
인천세광병원 개원식 모습. 왼쪽 4번째가 전진성 할아버지다. /전진성 할아버지 제공

할아버지는 10년간 동장 일을 하다가 다른 분야를 경험하고 싶어서 1970년 인천기독병원 사무장에 지원했다. 당시 사무장 채용 요건이 교회에 다닐 것, 공직 경험이 있을 것, 병원근무 경험이 있을 것 등 3가지였는데, 할아버지는 모든 요건을 충족했다.

할아버지는 부인이 다니던 부평 연합병원에서도 잠깐 근무했었다. "기독병원에 면접을 보러 갔는데 바로 다음날부터 출근하라고 해서 그날로 일을 시작했어."

1952년 인천시 중구 율목동 237에 설립한 인천기독병원은 설립 초기 피란민 진료소 역할도 담당했다. 병원에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인천기독병원'이라는 간판뿐만 아니라 '북한피난민연합회 진료소'라는 간판이 걸렸다.

1959년에 나온 '경기사전(京畿事典)'은 기독병원을 설명하면서, '약 40년 전(1919년께) 감리교 선교부 경영 인천부인병원으로 개설 후 왜정 말기에 폐쇄되었다가 8년 전에 인천기독병원으로 재출발하여 금일에 이르렀다'고 했다.

2017110701000448100020305
1983년 인천세광병원 직원수련회 모습. 왼쪽에 사회를 보는 사람이 전진성 할아버지다. /전진성 할아버지 제공

기독병원은 이후 미국 감리교 선교부의 도움을 받아 당시 인천의 대표 의료기관으로 급성장했다. 1956년부터는 수련의가 들어왔고, 1958년에는 정부로부터 전공의 과정 신설 허가를 받으면서 종합병원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기독병원 설립 당시 인천에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춘 의료기관으로는 인천도립병원, 인천적십자병원, 동양방직 부속병원 정도가 있었고, 성모자애병원(현 인천성모병원)은 1955년에야 문을 열었다. 인천길병원은 전신인 이길여산부인과의원이 1958년 개원했고, 의료법인 인천길병원 법인설립허가는 1979년 이뤄졌다.

인하대병원의 경우 1996년에야 문을 열었다. 인천기독병원은 인근에 있는 도립병원(인천시 중구 신흥동 2가)과 경쟁할 수밖에 없었는데, 기독병원이 환자 선호도 면에서 앞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01년 나온 '인천의료원 70년사'에 따르면 이 병원의 전신인 인천도립병원의 1959년 병상 가동률은 44.5%, 기독병원이 60%였고, 1961년에는 각각 34.2%, 57.4%였다.

2017110701000448100020306
전진성 할아버지가 부평1동 동부동 사무소 안에서 근무하는 모습. /전진성 할아버지 제공

이후 인천기독병원은 1969년 180병상, 1975년 250병상, 1981년 409병상으로 지속 확장한다. 이 병원이 지난 2003년 발간한 '인천기독병원 50년사'를 보면 기독병원은 경기도 일원 의료기관 가운데 가장 먼저 최신 의료기기를 들여놔 충청도, 전라도 등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 환자들도 많이 찾았다.

1953년에는 X-Ray 기계가 도입됐고, 1980년부터는 컴퓨터 단층촬영기(CT)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당시 CT는 웬만한 병원은 설치할 엄두도 내지 못할 만큼 고가여서 보건복지부는 인천, 경기 지역의 여러 병원에 인천기독병원의 장비를 공동 이용해달라고 권장하기도 했다.

할아버지는 "인천에서 CT를 도입한 것은 기독병원이 최초였다. 당시 최신식 의료기술을 자랑했다"며 "병원에서 대한방직, 대우전자 등 인천지역 주요기업들의 건강진단을 다 맡는 등 인천을 대표하는 의료기관이었다"고 말했다.

2017110701000448100020307
전진성 할아버지가 인천기독병원 총무과장 재직 시절 병원 앞에서 찍은 기념 사진. /전진성 할아버지 제공

인천기독병원 이종철 총무팀장은 "인천기독병원의 CT 도입은 서울 세브란스 병원보다도 빨라서 세브란스 환자들이 CT를 찍으러 기독병원에 오기도 했다"고 말했다.

1979년부터 인천기독병원 부근에서 의료기기 상점을 운영해 온 박차영(67)씨는 "당시 인천기독병원 인근에는 은행이 2곳이나 있었고 극장에 예식장 등이 있었다"며 "지금의 모습을 보면 상상이 안 가겠지만, 당시 기독병원 주변이 인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2017110701000448100020308
지금의 인천기독병원 모습.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하지만 전진성 할아버지가 근무했던 1970년대에는 의료보험 적용이 제대로 안 돼 병원비가 비싸다 보니 기독병원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람도 많았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2015년 12월 발행한 '보건복지 70년사'를 보면 의료보험제도는 1963년 의료보험법 제정으로 도입됐지만 제대로 시행되지 못하다가 1977년부터 5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당연 적용 방식으로 시행됐다. 그 후 점차 대상이 확대되면서 1989년 전 국민 의료보험이 시행된다.

할아버지는 기독병원 총무과장으로 있으면서 병원비가 없어 진료를 못 받는 사람을 도와줄 길이 없어 안타까웠다고 했다. "의료보험제도가 없을 때는 병원비가 너무 비싸서 안 죽을 사람도 죽었다고, 병원비를 못 내서 진료받다가 환자가 도망가는 일도 비일비재했어. 미수 병원비도 엄청나게 쌓이고 그랬지."

의료보험 제도가 확대 시행된 뒤에는 기독병원의 환자 수가 크게 늘기도 했다. '보건복지 70년사'에 따르면, 의료보험 제도가 500인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되기 시작한 1978년 기독병원의 외래 환자 수는 12만5천83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 가까이 증가했다.

할아버지는 10년간 기독병원에 있다가 전의철 부원장과 함께 1982년 5월 인천세광병원(현 인천사랑병원) 창설 멤버로 참여해 세광병원에서 10년간 일했다. '인천기독병원 50년사'를 보면 전의철 부원장은 1965년 9월 귀국해 진료를 맡았다.

그는 감리교 십자군 장학생으로 미국 대학에서 유학을 마쳤는데, 현지 병원이 유리한 조건으로 머무를 것을 요청했는데도 인천기독병원에 복직했다고 돼 있다. 174개 병상으로 개원한 세광병원은 1990년 진로그룹이 인수했다. 이때 노조가 심하게 데모하는 등 사측과 갈등이 심해졌고, 이 때문에 할아버지는 병원에서 나오게 됐다.

인천사랑병원 관계자는 "의료운동을 벌여오던 '신문청년의사'그룹이 경영난으로 문을 닫은 세광병원을 고용 승계 조건으로 인수해 1998년 11월 28일 인천사랑병원으로 문을 열었다"고 소개했다.

2017110701000448100020309
전진성 할아버지(왼쪽에서 5번째)가 부평1동 동부동 사무소 앞에서 직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진성 할아버지 제공

할아버지의 부인 박미자 할머니(83·황해도 옹진 출신)는 최근 몸이 많이 안 좋아져서 인천의 한 대형병원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다. 할아버지는 8일에도 할머니 곁을 지켰다. 할머니는 수년째 중증근육무력증으로 치료를 받고 있고, 최근 급성패혈증으로 인해 병세가 위중해져 중환자실 신세까지 지게 됐다.

그동안 4차례 진행한 인터뷰 약속을 한 번도 어긴 적 없던 할아버지는 할머니가 중환자실에 간 뒤로는 취재에 동행하지 못했다. 그래서 지난달 30일 잡아놨던 인천기독병원, 인천사랑병원 등의 현장 취재에도 함께하지 못했다.

그런 할아버지는 지난주 경인일보 연중기획 상편 기사가 나간 뒤 한동안 소식이 뜸했던 지인 여러 명에게서 연락이 왔다며 상기된 목소리로 전화를 해왔다. 할머니 간병에 여념이 없는 할아버지는 "(할머니가) 힘들 것 같다. 조금씩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글/홍현기기자 hhk@kyeongin.com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