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중기획 실향민 차학원 할아버지
차학원 할아버지가 공생조합이 만든 옹진군 북도면 신도4리 방조제 위에 올라 실향민들과 함께 바다를 막아 둑을 세운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할아버지 뒤쪽으로 보이는 언덕이 방조제 쌓는 돌을 구하던 '하머리'지역이다.

작은 섬에 황해도 육지 피란민들 몰려 새우잡이 배로 수송
1·4후퇴때 부모와 동생들 먼저 떠나고 곡식 지키다
노모 모시러 온 청년따라 노모 대신 '작은 배' 타고 南으로
거처 옮겨 다니느라 국민학교 4학년만 4번 다녀

천주교 지원으로 '공생조합' 만들어 수십만 평 간척
"매일같이 돌·흙짐 지고 손바닥이 가죽이 되도록 땀 흘려"
인천서 정년퇴직 후 돌아와… 당시 땅은 다 팔고 없어


연중기획 실향민 차학원 할아버지
인천 영종도 삼목선착장에서 뱃길로 10분이면 닿는 섬 신도(信島). 일명 '삼형제섬'이라 불리는 옹진군 북도면 신도·시도(矢島)·모도(茅島) 중에 가장 큰 섬이다. 신도선착장을 빠져나와 차량으로 1㎞ 정도 달리면 나오는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가면 신도4리다.

올해 10월 기준 57가구, 인구 126명의 작은 마을 신도4리에 펼쳐진 너른 논과 폐염전이 실향민들에 의해 만들어진 땅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황해남도 청단군 용매도 출신의 실향민 차학원 할아버지는 고향을 잃고 신도에 정착해 맨손으로 땅을 일궈냈다. 1942년생 말띠, 일흔 여섯이다.

전쟁은 할아버지가 국민학교 4학년 때 발발했다. 황해도 육지의 피란민들이 용매도로 밀려왔고 작은 섬은 난민촌이 됐다. 용매도 청년들은 '난민수송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새우잡이 배로 난민들이 원하는 곳까지 연평도, 덕적도, 영흥도 등 남쪽 섬과 군산, 목포 등지로 수송했다. 피란길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이었다.

용매도민회가 1997년 발간한 '용매도지(龍媒島誌)'는 "선창가에서 배를 타려는 가족과 자식을 찾는 소리, 엄마 아빠를 찾으며 울부짖는 비명소리, 먼저 배에 오르려다 바닷물에 빠져 텀벙대며 허우적거리는, 어떤 여인은 젖먹이 아이를 해변가에 버려둔 채 홀로 배에 오르는 비정한 장면도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전쟁 직후 용매도에는 북한군이 들이닥치지는 않았지만 공산당 조직은 상주하며 사상 교육을 했다.

차학원 할아버지는 "선생들이 수업은 안 가르치고 맨날 '김일성 장군의 노래'나 가르쳤어. '장백산 줄기줄기 피 어린 조국, 우리는 자유조선 꽃다발에 아 그 이름도 빛나는 김일성 장군~' 내가 아직도 가사를 안 까먹었어"라고 말했다.

고향을 지키고 있던 용매도 주민들은 1·4후퇴 때에야 피란 행렬에 동참했다. 차학원 할아버지네는 조와 수수 농사를 지었는데 수확한 곡식을 그냥 두고 가기가 영 아까웠다. 아버지는 먼저 어머니와 어린 두 동생을 피란시키고 꼭 다시 돌아오겠으니 곡식을 잘 지키고 있으라는 말과 함께 떠났다.

마을에는 '고향을 어찌 떠나냐'며 끝내 피란하지 않은 노인들이 주로 남았다. 이들은 밀물이면 바닷물이 차 섬이 되고 썰물이면 걸어서 들어갈 수 있는 용매도 끝자락 '묵골'이 안전하다며 이곳에 모여 살았다.

연중기획 실향민 차학원 할아버지1
차학원 할아버지가 옹진군 북도면 신도4리 자신의 집에서 피란 생활과 신도4리에 정착하기까지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차학원 할아버지는 할머니, 고모와 함께 아버지를 기다렸지만 뱃길이 막혔는지 몇 달이 지나도록 소식이 없었다.

1951년 여름 용매도에 한 청년이 작은 배를 타고 홀로 나타났다. 노모를 두고 장봉도로 피란한 청년이 혼자 노를 저어 어머니를 모시러 온 거였다. 청년은 함께 떠나자고 했지만 노모는 고향을 못 떠난다며 버텼다.

아들과 한창 실랑이를 하던 이 노인은 어르신들 틈에서 그 광경을 보던 차학원 할아버지를 지목하며 "너는 어리고 남자니까 나 대신 이 아저씨를 따라가라"고 했다.

청년이 타고 온 배는 두 사람이 겨우 탈 수 있는 작은 배였다. 마을 주민 누구도 자기가 대신 타겠노라 나서지 않고 당시 11살이던 할아버지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노모의 희생으로 가족이 있는 남한으로 가게 된 할아버지는 지금도 그 배를 잊을 수가 없다.

할아버지가 기자의 취재수첩에 그려 준 배는 앞이 뾰족했고 뒤에서 노를 젓는 식이었다. "밤새 물살을 갈라 장봉도에 도착했지. 날짜는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데 도착했을 때 매미가 울더라고. 할머니가 오이 먹으면 멀미 안 한다고 오이를 챙겨주셨으니 여름이 확실해."

장봉4리 해안가 백사장에는 피란민들이 한데 모여 천막을 치고 살고 있었다. 난민촌에서 먼저 피란 온 외삼촌을 우연히 만났다. 황해도 피란민 대부분 인천 만석동에 모여 산다는 소문이 돌았다. 2달여 뒤 인천으로 가는 배를 타고 만석동으로 무작정 떠난 할아버지는 수소문 끝에 괭이부리마을 움막집에 사는 아버지를 만날 수 있었다.

전쟁이 끝나자 아버지는 돈을 벌러 간다며 집을 나갔다. 할아버지는 어머니와 함께 외삼촌이 있는 장봉도로 다시 건너갔다. 그러다가 신도에서 바다를 막아 땅을 만드는 피란민 정착사업을 한다는 얘기를 듣고 사업을 하는 신도4리로 이주했다. 그때 나이가 18살 무렵이었다고 한다.

그 어린 나이에 한군데 있을 수 없었던 할아버지는 국민학교를 4학년으로만 4번이나 다녔다. 용매국민학교 4학년 때 피란했고 아버지를 찾아 인천 만석동에 와서 축현국민학교 4학년을 다녔다. 하지만 돈을 벌기 위해 '아이스케키' 장사를 하러 다니느라 학교는 가는 둥 마는 둥 했다.

장봉국민학교도 4학년에 편입했다가 신도로 건너가느라 유급했다. 그리고 신도에서 와서야 국민학교를 제대로 마칠 수 있었다. 신도국민학교 12회 졸업생인 할아버지는 동창들보다 나이가 4~5살 많다.

1996년 옹진군이 발행한 '옹진군향리지(甕津郡鄕里誌)'에 따르면 신도4리는 사람 왕래가 거의 없는 땅이었다가 실향민이 모여 살아 새로 생긴 마을이라 '신촌'(新村)이라고 불렀다. 실향민들은 먹고 살길이 없다 보니 난민정착사업소의 구제사업 인가를 받아 간척사업을 시작했다.

당시 천주교구제회(NCWC·National Catholic Welfare Conference)는 개간을 하는 실향민들에게 구호물자를 나눠주는 사업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양곡도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이곳 신도4리뿐 아니라 영종도, 시흥 등에도 실향민들이 조합을 결성해 갯벌을 메웠다.

1958년 3월 31일 경향신문에는 "천주교구제회가 65개소의 농지개간, 염전개발 등 거주민 1만 세대에 대해 매달 쌀, 밀가루, 옥수수 1만 포대를 자활하는 날까지 지급한다"는 기사가 나온다.

2006년 한국교회사연구소가 발행한 '교회사연구(26집)'도 "NCWC가 1955년부터 미공법(PL) 480호에 따른 잉여 농산물 공여가 시작되면서 응급 구호에 사용됐던 양곡이 개간 사업, 정착 사업 지원용으로 사용돼 1955년부터 1963년까지 8억8만464파운드의 양곡이 지원됐다"고 설명하고 있다.

신도4리 실향민들은 '공생조합'이라는 이름의 조합을 결성했다. 말 그대로 '서로 도우며 함께 살자(공생·公生)'는 의미였다. 당시 150가구 수백 명의 실향민이 제대로 된 도구도 없이 수십만 평의 땅을 만들었다. 한 집에 배당되는 땅은 3천 평씩이었다. 조합원들은 긴 제방을 쌓기 위해 맨몸으로 부딪혔다.

차학원 할아버지가 용매도에서 장봉도로 피란할 때 탔던 배의 모양. 할아버지가 기자의 취재 수첩에 직접 그렸다.

지난 16일 오후 3시께 공생조합이 만든 신도4리 방조제를 할아버지와 함께 찾았다. 바다 너머 영종도가 멀지도 가깝지도 않게 보이는 곳이다.

"싸리나무로 만든 지게를 짊어지면 양옆에서 두 명이 삽으로 흙을 퍼다가 쌓아줬어. '구루마'(손수레)도 없이 그저 지게로 옮겨 실어 '뚝매기(둑막이)'를 했지. 그때 천주교에서 구호를 많이 해주니까 천주교 신자들도 많이 늘어났어." 제방을 쌓는 데 필요한 돌은 당시 선착장이 있던 '하머리'와 섬 아랫자락에 있는 '고두구지'에서 가져왔다.

할아버지는 왼쪽을 바라보며 "저기 보이는 곳이 하머리인데 돌산에 다이너마이트를 박고 폭파해 돌을 떼어냈어. 도구도 없이 장갑 하나만 끼고 돌을 날랐어"라고 설명했다. 옹진군향리지는 "매일같이 나가 돌과 흙짐을 지고 갯벌에 빠지면서 등에 못이 박이고 손바닥이 가죽이 되도록 땀 흘려 일했다"며 그들의 처절함을 소개했다.

땅을 만들고 나서는 3천 평씩 나눠 갖는 일이 문제였다. 산 쪽에 붙어 민물을 많이 머금은 땅은 좋았고 바닷가 쪽 땅은 소금기가 있어 땅의 질에 편차가 컸다. 결국 제비뽑기로 좋은 땅 하나 나쁜 땅 하나씩 2필지를 나눠 가졌다. 할아버지 땅의 토지 이력(5천94㎡)을 확인해보니 신규등록일(매립 준공)이 1964년 7월 3일이었다.

1989년 12월 발행한 '옹진군지(甕津郡誌)'의 염전 현황에 신도4리 염전의 준공일은 1964년 9월 19일로 돼 있다.

신도4리 주민들은 새로 얻은 땅에서 농사를 지었지만, 썩 잘되지는 않았다. 일반 땅의 절반밖에 수확이 되지 않는 땅이었다.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은 염전 사업자에게 땅을 팔고 육지로 떠나기도 했다. 정착사업을 위한 매립이 끝나 천주교구제회의 양곡 지원도 끊겼다.

누구 산인지도 모르면서 아무 산에 올라가 나무를 베어다가 육지에 내다 팔았다. 나무를 한 짐 실어주면 보리쌀 한 됫박을 받았다. 할아버지는 직장을 구하러 인천으로 떠났고 바다에 나갔던 아버지가 신도로 들어와 농사를 지었다.

할아버지는 그때 받은 2필지를 모두 팔았다. 1필지는 아버지가 일찍이 팔았고, 나머지 1필지는 할아버지가 5년 전 아들, 딸들 결혼시키느라 팔았다고 한다.

2017년 5월 기준 이 땅의 개별공시지가는 1평(3.3㎡) 당 22만5천원이다. 실거래가는 더 비싼데 5년 전 판 땅은 평당 42만원을 받았다고 한다. 할아버지의 피땀이 고스란히 배어 든 재산이다.

할아버지는 직장을 구하러 인천으로 떠났다가 정년퇴직한 뒤 신도에 돌아왔다. 예전 어머니를 모시고 살던 집은 사라져 같은 용매도 출신 고(故) 서상호 할아버지가 살던 집을 고쳐 살고 있다. 기자가 할아버지와 인터뷰를 하던 중 마침 서상호 할아버지의 딸과 사위가 할아버지네를 찾아왔다. 이들 부부도 신도4리에 살고 있다.

텃밭 농사 얘기며 말린 생선 얘기를 하다가 할아버지가 "신문기자가 와서 예전에 공생조합 얘기하고 있었어…"라고 하니, 부부는 "우리 아버지가 그 얘기 잘 아시는데 지금은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고 말을 받았다.

한때 150가구였던 실향민은 1990년대 후반 20여 가구로 줄었고, 지금은 할아버지네를 포함해 몇 가구 남지 않았다고 한다. "여든이 넘은 1세대 어르신이 살아 계시는데 귀가 어두워 공생조합에 대해 설명해 줄 사람들은 이제 남지 않았지. 아마 신도4리 실향민 1세대도 내가 마지막일 거야."

글/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 사진/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