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간 환자 시늉하는 등
인민군 되기 싫어 도망다녀
노동당원인 담임선생님과
전세 따라 서로의 피신 도와
사범학교 들어가 신분 세탁
교사 생활하다 월남 성공
취라도 평남부대 대원으로
환경 열악 위험한 작전수행
가족들 두고 내려온 탓
전쟁 끝나면 빨리 돌아가려
고향 인근 부대에 잔류
전쟁이 길어질 줄도 모르고
1953년 6월 용유도에 도착
1951년 겨울과 1953년 여름 사이의 오랜 기간, 황윤걸 할아버지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인민학교 교사 생활, 유격대원 활동 등 할아버지가 들려준 이야기는 한 편의 영화 같았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1950년 6월25일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당시 18살이었다. 인민군이 되기 싫어서 도망 다녔다.
한 번은 '인민군 동원 지도원'과 싸움이 붙었고, 목 부위를 크게 다친 것처럼 속여 한 달 동안 환자 시늉까지 했다.
부친은 인민군을 속이기 위해 3일마다 한 번씩 동네 의원에 가서 아들의 약을 지어오기도 했다.
9월15일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뒤집어졌다. 유엔군과 국군이 황윤걸 할아버지 마을을 거쳐 북쪽을 향해 진격했고, 할아버지는 치안대원으로 활동하게 됐다.
북으로 후퇴하는 인민군을 따라 피란을 가자니 도중에 적군의 공격을 받을 거 같고, 자기 집으로 가자니 잡힐 것 같은 처지가 된 것이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담임선생님은 내가 빨갱이가 아닌 것을 알고 계셨거든. 낮에는 내가 인민군에 안 가려고 파놓은 땅굴에, 밤에는 우리 집 사랑방에 모셨다"고 했다.
담임선생은 좀 더 안전한 곳으로 떠나기를 원했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치안대에서 통행증을 여러 장 끊어 담임선생에게 줬고, 담임선생은 다른 곳으로 피신했다.
"그때는 통행증이 있어야 했어. 치안대 직인이 찍힌 통행증 5~6장과 함께 보자기에 고구마와 밤 등 먹을거리를 싸서 드렸지."
운명의 장난인가. 중공군의 참전으로 전세가 역전됐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치안대원으로 활동한 전력 때문에 산에 숨어 지낼 수밖에 없었다. 어느 날 집에서 연락이 왔다. 담임선생님이 찾아왔단다.
"집에 갔더니 안방에 담임선생님이 있는 거 아니겠어. 내가 치안대 생활을 했으니 걱정이 된 모양이야. '사흘 있다가 다시 올 테니 인민군에 잡히지 말고 있어'라고 하시고 떠나셨지."
이틀 만에 담임선생이 다시 왔다. 담임선생은 "인민군에 잡히지 않으려면 사범전문학교에 들어가 교사가 되어야 한다"며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할아버지를 데리고 갔다. '신분 세탁'을 하기로 한 것이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담임선생 추천으로 1951년 3월 인민교원양성소에 입학했다.
"학생이 40~50명 정도 됐어. 그 당시에 강의실이 어디에 있어, 동네 교회에서 수업을 받았지. 8월까지 교육을 받고 9월에 발령받았어. '어느 학교에 가겠냐'고 물어보기에 (치안대 활동 전력이 탄로 날 수 있어서) 고향에서 먼 곳을 희망했지."
할아버지는 한 인민학교 4학년 담임을 맡게 됐다. 이름만 학교이지 교실도 없고 학생도 몇 안 됐다.
"1학년은 어느 부락, 2학년은 어디 교회 등 지역을 정해주는 거야. 나도 교회에서 수업을 했는데, 학생이 있어야지. 오전에는 수업하고 오후에는 학생을 모집하러 다녀야 했어."
그렇게 2개월 정도 생활했다. 그러던 중 집에서 연락이 왔다. 월남하려면 며칠까지 어디로 오라는 내용이었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학교 교감에게 "주민등록 주소를 인민교원양성소에서 학교로 옮기러 간다"고 거짓말을 둘러대고 약속한 장소로 떠났다.
접선 장소는 인민교원양성소 반대편에 있었다. 위험을 무릅쓰고 산을 넘어 먼 길을 왔건만, 그곳엔 월남을 안내하기로 한 사람이 없었다. 길이 엇갈린 것이다.
"그날 월남을 돕겠다는 사람이 내가 안 온다고 누나네 집으로 찾으러 갔다는 거야. 그래서 그날 월남하지 못했어."
월남에 실패한 황윤걸 할아버지는 다음 기회를 기약하며 밤늦은 시간 험한 산을 다시 넘어 학교로 돌아갔다. 다시 기회가 왔다.
할아버지는 "날짜도 잊어버리지 않는다. 10월28일 연락을 받고 다음 날 동창 집에서 만났다"며 "나 말고도 국군 패잔병 2명, 반공인사 등 10명 정도가 더 있었다. 해안가에 있는 지뢰를 피해 월남하는 배를 탔다"고 했다.
엔진이 없는 작은 목선이었다. 밤 11시에 30명 정도가 배에 탔다. 배가 가라앉을 것 같았다. 풍랑에 금방이라도 뒤집힐 것 같은 배는 다음 날 오후 8시께 섬에 도착했다. 진남포 남서쪽에 있는 '취라도'라는 섬이다.
"아침에 일어나니까 밥을 주는데, 안남미 밥이야. 석유 냄새까지 나서 먹을 수가 있어야지. 밥이 목구멍을 넘어가지 않아. 토할 거 같아서 세 끼를 굶었어."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가 펴낸 '한국전쟁의 유격전사'에 따르면 1951년 3월 중순 백령도에 동키 제9부대가 창설됐다. 평남 지방에서 온 치안대원 등 반공인사와 청년들로 구성됐다. 동키 제9부대는 미 제8군으로부터 식량, 무기와 탄약, 무전기 등을 받아 초도에 본부를 차렸다. 그리고, 취라도와 덕도 등에 파견대를 보내 작전을 수행했다.
취라도에는 약 30명의 대원이 있었던 것으로 황윤걸 할아버지는 기억했다. 작전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식량은 안남미가 전부였는데, 겨울철에는 보급로가 끊겨 그마저도 먹기 힘들었다.
할아버지는 "소금이 반찬이었다. 새우젓이랑 밥을 먹으면 진수성찬"이라며 "담요가 부족해서 3명이 1장을 덮고 자고, 해안가에 떠내려온 나무로 불을 땠다"고 회상했다. 또 "피복 보급을 51년인가 52년에 처음 받았다. PW라고 적혀 있는 포로수용소 포로들이 입었던 옷이었다"고 했다.
작전은 위험했다. 작전을 수행하다가 인민군에 잡혀 처형을 당하거나 적의 공격으로 부상을 입은 경우도 많았다.
"저수지를 폭파하려고 대원들이 들어갔는데, 분대장이 인민군이 매설한 지뢰를 밟은 거야. 대원이 부상당한 분대장을 업고 오다가 또 '꽝'하고 지뢰가 터졌어. 분대장은 다리 하나를 잃고, 대원은 한 눈의 시력을 잃었지."
1953년 4월께 덕도에서는 새로 지급된 무기(무반동포)를 시험하던 중 조작 미숙으로 오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대원 1명이 그 자리에서 숨지고 안병기 대대장 등 5~6명이 중상을 입었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초도에도 백령도 백사장처럼 비행장 같은 곳이 있었다"며 "안병기 대대장은 초도에서 남한으로 후송하던 중 비행기에서 숨졌다. 나중에 부대에 온 유품 손목시계에는 피가 그대로 남아 있었다"고 기억했다.
평남부대에는 여성 대원도 있었다. 그녀들의 임무는 식사 준비, 빨래, 부상병 치료 등이다. 인천 동구 만석동에 사는 김찬일(86, 평남 강서군 함종면 계산리) 할머니도 평남부대원이었다. 황윤걸 할아버지와 비슷한 시기에 부모님 등 가족과 함께 취라도에 왔다.
김찬일 할머니는 "아버지가 치안대 활동을 해서 고향에 남아 있을 수가 없었다"며 "섬으로 내려와 대원들의 작전을 도왔다"고 했다.
또 "주먹밥을 만들어줘야 하는데, 안남미는 부스러진다"며 "보급품이 부족해 탄띠를 풀어 남자 대원들의 속옷을 만들어줬던 기억이 난다"고 했다. 김찬일 할머니는 휴전 후 인천에 정착했다. 역전에서 짐 나르는 일, 이 집 저 집 다니며 허드렛일도 하고, 인천항 부두 앞에 떠 있는 원목의 껍데기를 벗겨 내다 팔기도 했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1953년 6월 중순 미군의 LST(상륙함)를 타고 용유도 을왕리해수욕장 부근에 내린 것으로 기억했다. 한국휴전협정(1953년 7월27일) 무렵에야 남한으로 온 것이다. 할아버지는 동키 평남부대가 육군에 편입된 이듬해 2월까지 200여 명의 대원과 용유도에서 훈련을 했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한국유격군전우회총연합회 평남부대 전우회 D-9 1호 회원이다.
"80년대 초반에 유격군연합회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지. 사무실을 찾아가서 평남부대에서 왔다고 했더니, 평남부대는 아직 등록되지 않았다는 거야. 우리 부대 옆에 안용부대 D-12라고 있었어. 여기 회장인 안용호씨와 사무국장 변철준씨가 인우보증을 서 등록할 수 있었지."
황윤걸 할아버지는 1954년 용유도에서 헤어진 전우들을 수소문해 찾아 모았다. 그렇게 해서 60여 명의 대원을 참전유공자로 등록해줬다. 이북에서 작전을 수행하다가 숨진 대원 등 전사자 9명의 위패를 국립대전현충원에 봉안하는 일에도 앞장섰다.
황윤걸 할아버지는 한국전쟁 때 조모, 부모님, 누나, 그리고 여동생 3명을 고향에 두고 혼자 월남했다. 고향과 가까운 섬에 주둔하면서 작전 수행을 위해 고향 근처를 드나들었지만, 집에는 갈 수 없었다고 한다.
인민군에 잡히기라도 하면 할아버지는 물론 가족까지 위험하기 때문이다. 가족의 곁에 있으면서도 함께할 수 없는 상황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황윤걸 할아버지는 "취라도에서 남쪽으로 내려간 사람도 있다. 하지만 나는 동키 평남부대에 남아 있기로 했다"며 "전쟁이 끝나면 집에 빨리 돌아갈 수 있을 거 같았다. 그때는 전쟁이 이렇게 길어질 줄 몰랐다"고 했다.
글/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 사진/임순석기자 sse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