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원장·한옥자)은 18일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지역사회 서비스제공기관 간의 협력체계 구축방안(연구책임·전민경)'을 통해 도내 다양한 아동학대 사건 대응기관이 있지만 기관간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2014년 아동학대특례법 시행 후 경기도의 아동학대 의심 신고건수는 매년 23%가량 늘어나 2016년에는 6,564건에 이르고 있으며, 약 80%가 부모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피해아동과 가족 지원을 위한 도내 아동보호전문기관은 12개뿐으로, 이 중 10개의 기관이 시군을 분할관리하면서 아동학대예방 업무까지 총괄하고 있는 실정이다.
2014년 아동학대특례법 시행 후 경기도의 아동학대 의심 신고건수는 매년 23%가량 늘어나 2016년에는 6,564건에 이르고 있으며, 약 80%가 부모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피해아동과 가족 지원을 위한 도내 아동보호전문기관은 12개뿐으로, 이 중 10개의 기관이 시군을 분할관리하면서 아동학대예방 업무까지 총괄하고 있는 실정이다.
드림스타트·청소년상담복지센터·가정폭력상담소·건강가정지원센터 등 여러 기관이 상담과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서비스 중복 또는 누락이 발생하고 있어 효율적인 지원과 연계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연구진이 연계현황 파악을 위해 지자체·교육청·아동호보전문기관·경찰 등 최일선 기관과 각종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집중 사례조사를 실시한 결과, 연계의 기본인'합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기도 역할로 ▲아동학대 사례를 통합·연계하는 컨트롤 타워 구축 ▲지역특성에 따른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의 관할지역 파견 등을 제안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관련법 및 예산지원을 통한 지역별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예방교육 이수 신고의무자의 대상범위 확대를 제시했다.
한편 연구원은 연구결과의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12일(화) 아동학대 관련 지역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포럼을 개최해 연구내용을 공유하고 추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연구진이 연계현황 파악을 위해 지자체·교육청·아동호보전문기관·경찰 등 최일선 기관과 각종 관계기관을 대상으로 집중 사례조사를 실시한 결과, 연계의 기본인'합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기도 역할로 ▲아동학대 사례를 통합·연계하는 컨트롤 타워 구축 ▲지역특성에 따른 아동보호전문기관 실무자의 관할지역 파견 등을 제안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관련법 및 예산지원을 통한 지역별 아동보호전문기관 설치 ▲예방교육 이수 신고의무자의 대상범위 확대를 제시했다.
한편 연구원은 연구결과의 현장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12일(화) 아동학대 관련 지역기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포럼을 개최해 연구내용을 공유하고 추후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