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황마다 달라지는 판정에 불만
선수들 집중력 잃을까봐 항의도

하계 프로스포츠인 프로야구나, 프로축구에서도 오심 논란이 끊이지 않는다. 결국 두 종목 다 비디오판독 시스템을 도입해서 운영하지만 비디오판독이 도입됐다고 논란이 잠재워진 것도 아니다.
체육계에서는 오심도 경기의 일부라고 이야기한다. 선진농구라고 말할 수 있는 NBA에서는 경기당 8개의 오심이 나온다고 말한다. 또 8개 정도는 사람이 판정을 내리기에 어쩔수 없는 오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왜 유독 올해 KBL에서 오심 문제가 뜨거운 논란이 될까.
혹자는 승패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순간에 오심이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할수도 있다. 그렇다면 지난시즌까지는 오심이 경기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스포츠는 흐름이 중요하다.
농구도 마찬가지다.
농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종목 특성상 휘슬을 불어 경기가 중단되면 흐름이 깨진다. 그 판정이 불리하게 작용할 경우 선수들에게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심판의 판정에 대해 감독들이 항의 하는 건 심판의 판정이 억울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선수들이 집중력을 잃지 않게 하려는 의도도 있다.
해설을 위해 코트를 방문해서 감독과 코치, 선수들을 만나보면 그들도 심판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심판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건 경기 중 발생하는 하나하나의 상황에 대한 부분이 아니다.
경기마다, 상황마다 달라지는 심판 판정이 아닌 일관적인 판정이 이뤄지기를 바란다. 똑같은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상대선수에게 불지 않는 파울을 자신에게만 적용하는 것에 대한 불만이다.
그렇다고 심판들이 고의적으로 그런 상황을 만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심판들이 특정팀이 승리할 수 있도록 고의적으로 파울을 불거나 하지는 않는다. 특히 심판들의 처우가 많이 개선 됐기 때문에 돈을 받고 판정을 하는 일은 더더욱 없다.
심판들도 판정에 대해 오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 하고 있다. 시즌 전에는 각팀의 연습경기 심판을 봐주며 새로 도입되는 룰을 설명하거나, 강화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코칭스태프와 선수들에게 설명을 해 준다. 또 경기 중에도 경기에 지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선수와 감독에게 설명한다.
코트 위에 서 있는 선수와 지도자들, 그리고 심판. 이들 모두는 팬들이 원하는 경기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상윤 IB스포츠 해설위원·상명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