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송도-인천 송도 글로벌캠퍼스11
오는 2022년까지 세계 50위권 대학 5개교 유치를 목표로 올 하반기부터 2단계 시설 구축 절차에 들어갈 계획인 인천 송도국제도시 해외 명문대학 공동캠퍼스인 '인천글로벌캠퍼스'. /경인일보 DB

1단계사업 겐트·뉴욕패션대 등 입주… 산학연 시너지 '성공 안착'
2단계 국비 비율 50% 확대안 "다른 지역 형평성" 정부 불가 고수
국비 25% 사업안 마련 경제청 "조기 완성 지역경제 활성화 유리"

2018020401000195100008112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해외 명문대학 공동캠퍼스 '인천글로벌캠퍼스'가 2단계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세계 50위권 대학 유치 활동을 지속적으로 벌이면서, 올 하반기부터는 2단계 시설 구축 절차에 들어갈 계획이다.

■ 1단계 사업 '성공적 안착'

인천글로벌캠퍼스 조성사업은 송도 7공구 내 29만5천㎡(1단계 17만9천300㎡, 2단계 11만5천700㎡)에 해외 명문대학을 유치하는 사업으로 ▲외국인 정주 환경을 조성하고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젝트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해외 유학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천글로벌캠퍼스 입주대학과 송도 입주기업 간 산학연 협력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1단계 사업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는 평가다.

2018020401000195100008113
현재 한국뉴욕주립대, 한국조지메이슨대, 겐트대 글로벌캠퍼스, 유타대 아시아캠퍼스, 세계적인 패션 명문대학 '뉴욕패션기술대'(FIT)가 입주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 대학은 국내 대학 등과의 협업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표 참조

아쉬운 점은 '정원 충원율'과 '교수 숙소'다. 정원 충원율은 44%에 그치고 있으며, 교수 숙소는 부족하다.

인천경제청과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은 정원 충원율을 80% 이상으로 높이기 위해 홍보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교수 숙소와 관련해선 올해 설계를 거쳐 50~100호 규모의 교수 아파트를 건립할 계획이다.

■ 2단계 대학 유치 및 시설 준비 '착수'

인천경제청은 인천글로벌캠퍼스 2단계 사업으로 오는 2022년까지 세계 50위권 대학 5개교를 유치할 계획이다. 해외 명문대학 유치 활동은 벌써 '진행 중'이다.

인천경제청은 지난해 10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국립 콘서바토리와 송도캠퍼스 설립·운영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대학은 지난해 세계 콘서바토리 순위에서 18위를 기록한 명문 음대다. 인천경제청은 암스테르담 콘서바토리 유치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협의를 벌이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연구기관 유치 활동도 벌이고 있다. 올해 9월 스탠퍼드 스마트시티연구소 개소를 목표로 산업부와 협의 중이며, 케임브리지대 의약연구소(2017년 6월 MOU, 2019년 9월 개소 목표)와의 협의도 이어가고 있다.

2단계 시설 구축은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야 추진할 수 있다. 인천경제청은 인천발전연구원을 통해 (가칭)'인천글로벌캠퍼스 2단계 사업 타당성 조사 연구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그런 다음에 기재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다. 행정 절차를 거치다 보면 2단계 사업 확정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캠퍼스 운영에는 큰 문제가 없다는 게 인천경제청의 설명이다.

새로 입주하는 대학들은 캠퍼스 중앙부에 위치한 공동이용시설을 임시로 사용하면 된다. 공동이용시설에 입주해 있다가 2단계 시설이 완공되면 그곳으로 이전하는 방식이다. 1단계 사업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됐다고 한다.

■ 사업비 분담 비율은

인천글로벌캠퍼스 1단계 사업비는 국비 25%, 시비 25%, 민간 50%로 이뤄졌다. 인천경제청은 2단계 사업의 국비 비율을 25%에서 50%로 확대해달라고 산업부와 기재부에 요구해왔다. 하지만 정부는 1단계 사업비 비율과 타 시·도 유사 사례와의 형평성을 이유로 불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인천경제청은 '국비 25%, 시비 25%, 민간 50%' 비율로 2단계 사업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2015년부터 3년간 국비 확대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계속해서 (국비) 50%를 요구하는 것보다 25%로 빨리 사업을 추진해 완성하는 것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리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