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_2584
사진 왼쪽부터 아시아인권문화연대 이완 대표, (재)부천여성청소년재단 조도자 정책기획실장, 믹스라이스 양철모 작가.

지원이 '해악' 끼치는 경우 많아
사업·프로그램 성격 명확히 결정
관련자들 다양성 개념 교육 필요


"다문화 가정 아이들이 가장 상처받는 말은 '다문화 가정'이라고 자신을 부르는 것입니다."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말은 외국인 가정 또는 국제결혼으로 이루어진 가정 형태라는 공식적인 의미보다 '소외계층'을 뜻하는 의미로 통용되기 일쑤다.

피부색이 다르고 부모가 한국인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아이 개인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고 다문화라는 틀 안에 가둔 채 수혜대상으로만 여긴다.

여기에 가난, 범죄 등으로 덧씌워지는 부정적 편견은 두말할 것 없다. 이런 편견이 자라 '혐오'가 되는 것 또한 우리 사회의 단면이다. 문화다양성 관점에서 보면 우리 사회가 다문화를 대하는 방식은 빵점에 가깝다.

전문가들은 사회 안의 소수 문화 감수성을 인식하지 않고 공급자 중심의 일방적 지원을 경계했다.

부천여성청소년재단 조도자 정책실장은 "현재의 다문화 정책은 다문화 감수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않는다. 특히 아동 특성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다"며 "이를테면 동화 신데렐라는 새엄마가 아이를 핍박하는 내용이 담겼는데, 다문화가정에는 중도입국한 아이들이나 재혼가정이 많다. 현장에서는 동화를 무작정 읽히는 것에 대해 오랫동안 문제제기를 해왔지만 이런 것들이 계속 무시돼 온 것이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아시아인권문화연대 이완 대표도 "문화다양성에 대한 교육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소수 문화의 감수성을 잘 몰라 오히려 지원이 해악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을 프로그램 수행자로 선정하거나, 시작단계부터 문화다양성 컨설팅을 해주고 엄격하게 프로세스를 감독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문화다양성 정책은 정책의 성격을 명확히 결정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남양주 마석가구단지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과 함께 MDF 페스티벌을 운영해온 양철모 작가는 "문화다양성 사업이 갖는 가치와 범위, 방법 등을 명확하게 정하고 프로그램을 시작해야 한다. 특히 사업의 성격이 소외계층에 나눔사업을 하고 끝나는 것인지, 이를 통해 정체성이 다른 아이들과 함께 문화다양성 가치를 확장하는 것까지 비전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선 사업을 공고하기 전에 교육자들이나 정책 입안자(공무원, 국회의원 등)들부터 문화다양성의 개념을 인지하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등의 교육장치를 별도로 설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완 대표 역시 "문화다양성의 가치확산을 주목표로 잡았다면 현장의 교육자 뿐 아니라 예산,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공무원 등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모든 이들의 연수프로그램이 상시적으로 필요하다. 광주광역시의 경우는 공무원 교육프로그램에 '문화다양성'을 의무이수과목으로 넣었고 성과를 평가하는 항목에도 문화다양성이 포함돼있다"며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경기도는 특히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공지영기자 jy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