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콘텐츠제작교육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내 1인 미디어제작실.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제공

방송국 수준 시설 PD출신 등 강의 진행
BJ 체험·장비 사용법 배우고 대여 가능

드론 촬영·VR 제작 등 취업·창업 지원
섬지역 학생 등 '미디어 약자' 맞춤교육


2018030401000191600008154
시청자미디어재단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가 최근 올해 사업을 발표했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2014년 8월 개관했다.

시청자가 미디어를 이해하고 방송 콘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방송 제작 시설·장비를 무료로 빌려주고 있다.

인천 앞바다 섬 지역 학생 등 '미디어 약자'를 지원하는 사업도 벌이고 있다.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시설·장비와 올해 사업을 소개한다.

미디어체험_뉴스
학생들이 오픈TV스튜디오에서 뉴스 프로그램 제작을 체험하고 있는 모습.

# 첨단 시설·장비 보유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는 송도건강생활지원센터(인천 연수구 인천타워대로 54번길 19)와 같은 건물을 쓰고 있다. 1~2층이 건강생활지원센터, 3~4층은 시청자미디어센터다.

3층에는 미디어체험관, 방송제작지원실, 장비대여실, 고급편집실, 1인 미디어제작실 등이 있다.

미디어체험관은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는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다. 오픈TV스튜디오에서는 아나운서, 기자, 기상 캐스터 등의 직업을 체험할 수 있다. 영상에 자막과 음향을 넣는 장비도 갖추고 있다.

센터 관계자는 "국가 재난 발생 시에는 방송국을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시설·장비를 보유하고 있다"며 "교수와 방송국 PD 출신 등 전문가들이 강사로 나와 교육과정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학기 중에는 초등·중등학생, 방학 기간엔 일반인이 교육 프로그램에 주로 참여하고 있다. 센터에 강사로 등록된 전문가는 107명에 달한다.

오픈라디오스튜디오 역시 생방송 송출이 가능할 정도로 첨단 시설·장비를 갖추고 있다. 4명이 1개 팀이 돼 프로그램 진행 등을 실습한다.

아프리카TV, 유튜브 등 모바일 플랫폼이 발전하면서 1인 미디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1인 미디어제작실은 BJ를 체험하고 관련 장비 사용법을 배우는 공간이다.

장비대여실에는 카메라, 삼각대, 무선마이크, LED 조명, VR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360도 소형 카메라 등 200여 개의 장비가 있다. 교육과정을 이수해 정회원이 되면 장비를 빌릴 수 있다.

4층은 다목적홀, 소리제작실, 교육실, 편집실, 동아리실 등으로 구성됐다. 다목적홀은 2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방송 제작 전문 스튜디오로, 공연장과 드론 비행 실습장 등 다목적 공간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소리제작실은 첨단 디지털 오디오 제작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시엠송(CM song) 녹음과 내레이션 작업 등이 가능하다.

주부영상만들기교육
일반 수강생들이 디지털교육실에서 영상 제작·편집 방법을 배우고 있다.

# 스마트미디어교육 확대 및 지역 밀착형 사업 추진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는 올해 '스마트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마을미디어 지원사업'과 '자유학기제 미디어교육' 등 지역 밀착형 미디어 사업에 집중한다.

센터는 오는 5월 '제2기 스마트미디어 분야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이 사업은 1인 방송, 드론 촬영, VR 제작 교육 등을 통해 스마트미디어 저변을 확대하고 청년들의 취업·창업을 돕는 내용이다. 센터는 중급자용 드론 3대를 추가로 확보해 상설미디어교육 부문에서 드론 촬영 심화과정도 운영할 계획이다.

마을미디어 지원사업은 이달 사업 공모를 시작으로 본격 추진된다. 지난해에는 강화군 온수리 주민들이 '희망터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지역의 다양한 이야기를 영상으로 담아냈다.

지역문화 영상아카이브 사업은 지난해 '오래된 가게'에 이어 올해는 지역의 옛 건축물을 들여다보는 '인천 고택'이 진행된다.

자유학기제 맞춤형 미디어교육은 21개교(지난해)에서 23개교(올해)로 확대 운영된다. 특히 1인 방송 제작 교육을 신설해 더욱 다양한 진로 탐색 기회를 제공한다.

센터는 백령도, 연평도, 덕적도 등 섬 지역 학생을 위한 맞춤형 미디어교육을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대청도 학생과 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할 예정이다.

시청자가 직접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시행하는 '시청자 제안사업'도 이달부터 본격 추진된다. 센터 운영총괄팀(032-722-7900)에 문의하면 자세한 사항을 안내받을 수 있다.

한편, 지난해 센터를 방문한 사람은 7만9천119명이다. 센터는 42개 강좌(3천775명)를 운영하고, 34개교(1만1천151명)에 미디어교육을 지원했다. 미디어 체험 제공 횟수는 432회(7천158명), 시청자 방송 참여 횟수는 292편에 달하는 성과를 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