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즈음 따뜻한 봄기운과는 달리 포천과 연천, 가평, 파주 등 경기북부 접경지역 상인들의 마음은 여전히 한겨울이다. 지난 달 정부가 군인 외출·외박구역 제한(위수지역) 제도의 폐지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의 상인들은 반세기 가깝게 수도권정비계획법,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등 각종 규제로 인해 지역발전을 위한 원동력 마저 잃은 상태서 또 다시 정부가 경기북부지역을 홀대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 중 외출·외박을 나온 군인들에게 단골코스인 포천이동갈비촌은 초상집 분위기다.
이들 지역의 상인들은 반세기 가깝게 수도권정비계획법,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보호법 등 각종 규제로 인해 지역발전을 위한 원동력 마저 잃은 상태서 또 다시 정부가 경기북부지역을 홀대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이들 지역 중 외출·외박을 나온 군인들에게 단골코스인 포천이동갈비촌은 초상집 분위기다.
이 곳에서 39년 동안 갈빗집을 운영하고 있다는 김근자(70·포천이동갈비협회 부회장)씨는 "2000년 이후부터 이동갈비의 유명세가 꺾이기 시작하더나 요즘엔 주말만 반짝 손님이 있을뿐 평일은 사실상 개점휴업상태"라며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위수지역 제도마저 폐지하려는 것은 이곳 상인들에게 사형 선고나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지난 6일 점심시간, 포천이동갈비촌의 20여개 음식점 중 손님을 볼 수 있는 곳은 한 두 매장에 불과할뿐 거의 대부분의 매장이 텅 비어 있었다.
지난 6일 점심시간, 포천이동갈비촌의 20여개 음식점 중 손님을 볼 수 있는 곳은 한 두 매장에 불과할뿐 거의 대부분의 매장이 텅 비어 있었다.
김씨는 "전차가 수시로 지나다니는 것은 물론 연일 이어지는 각종 대포 사격에 집 유리창이 깨져 나가는 피해도 전부 나랏일이니 하고 감내하며 살았다. 매년 여러 부대행사때마다 장병들을 위해 갈비를 제공하고 탈영병이 있을 때 이들을 보듬어 다시 부대로 돌려보낸 우리다. 이렇게 수십년을 양보하며 살았는데 이게 무슨 청천벽력같은 소리냐"고 울분을 토했다.
오뚜기 부대로 잘 알려진 육군 8사단이 주둔하고 있는 포천 일동면의 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상인들도 마찬가지다. 이곳을 통과하는 368번 지방도에는 지역 민간단체들이 '위수지역 폐지 방침 철폐'를 촉구하는 현수막이 곳곳에 내 걸려 있다.
일동전통시장 상인회 사무국장인 유재성(62)씨는 "순댓국 한 그릇을 자식같은 군인들에게 6천원에 내 주면서 장사를 해왔는데 정부가 이런 방침을 세워 상인들의 걱정이 크다"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일동면은 과거 주말마다 외출나온 군인들로 넘쳐났지만 교통편이 발달하면서 장병들 사이에서 일명 '점프'로 불리는 위수지역 이탈이 일상화된 이후부터 군인 상대 장사는 큰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곳 장병들의 위수지역은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까지 제한돼 있지만 주말마다 군인들은 시외버스를 타고 지역을 이탈, 사실상 위수지역은 사문화된 것으로 상인들은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위수지역 폐지가 나오자 지역 상인들은 말문이 막힌다는 표정이다. 유씨는 "만약 정부방침이 확정된다면 더 이상 잃을게 없는 상인들은 청와대라도 몰려가야 할 판"이라며 "부디 정부가 이곳 상인들을 위한 최소한의 배려를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천군 전곡읍 버스터미널에서 소매업을 하고 있는 우재정(55)씨도 "접경지역인 이곳은 군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90%를 넘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위수지역 확대는 지역경제를 말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위수지역 확대의 경우 비상 시 긴급출동태세를 갖춰야 하는 군 특성 상 안보가 위협받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파주시 적성시장 상인 양재성(59)씨는 "그동안 접경지역, 군사보호구역이라고 해 재산권 행사도 제대로 못한 채 장사로 근근이 먹고 살았는데 이젠 장사조차도 힘들게 됐다"며 "위수지역 해제는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평 잣 고을 전통시장의 한 관계자는 "군사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법안으로 가평지역 모든 주민이 고통받고 있다"며 "적폐청산을 이유로 위수지역을 폐지하려면 앞서 규제법안 폐지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군(軍) 적폐청산위원회는 최근 '위수지역' 제도가 인권침해 우려가 있는 불합리한 제도로 판단하고 이를 폐지하는 제도개선안을 국방부에 권고했다.
오뚜기 부대로 잘 알려진 육군 8사단이 주둔하고 있는 포천 일동면의 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상인들도 마찬가지다. 이곳을 통과하는 368번 지방도에는 지역 민간단체들이 '위수지역 폐지 방침 철폐'를 촉구하는 현수막이 곳곳에 내 걸려 있다.
일동전통시장 상인회 사무국장인 유재성(62)씨는 "순댓국 한 그릇을 자식같은 군인들에게 6천원에 내 주면서 장사를 해왔는데 정부가 이런 방침을 세워 상인들의 걱정이 크다"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일동면은 과거 주말마다 외출나온 군인들로 넘쳐났지만 교통편이 발달하면서 장병들 사이에서 일명 '점프'로 불리는 위수지역 이탈이 일상화된 이후부터 군인 상대 장사는 큰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곳 장병들의 위수지역은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까지 제한돼 있지만 주말마다 군인들은 시외버스를 타고 지역을 이탈, 사실상 위수지역은 사문화된 것으로 상인들은 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위수지역 폐지가 나오자 지역 상인들은 말문이 막힌다는 표정이다. 유씨는 "만약 정부방침이 확정된다면 더 이상 잃을게 없는 상인들은 청와대라도 몰려가야 할 판"이라며 "부디 정부가 이곳 상인들을 위한 최소한의 배려를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연천군 전곡읍 버스터미널에서 소매업을 하고 있는 우재정(55)씨도 "접경지역인 이곳은 군에 대한 경제의존도가 90%를 넘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위수지역 확대는 지역경제를 말살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위수지역 확대의 경우 비상 시 긴급출동태세를 갖춰야 하는 군 특성 상 안보가 위협받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파주시 적성시장 상인 양재성(59)씨는 "그동안 접경지역, 군사보호구역이라고 해 재산권 행사도 제대로 못한 채 장사로 근근이 먹고 살았는데 이젠 장사조차도 힘들게 됐다"며 "위수지역 해제는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평 잣 고을 전통시장의 한 관계자는 "군사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각종 규제법안으로 가평지역 모든 주민이 고통받고 있다"며 "적폐청산을 이유로 위수지역을 폐지하려면 앞서 규제법안 폐지가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군(軍) 적폐청산위원회는 최근 '위수지역' 제도가 인권침해 우려가 있는 불합리한 제도로 판단하고 이를 폐지하는 제도개선안을 국방부에 권고했다.
파주·연천·가평·포천/이종태·오연근·김민수·정재훈기자 jjh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