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 의원이 턱없이 부족한 김포시의회가 또 '금녀의 벽'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가시책인 일·가정 양립과 김포시의 급격한 도시화에 부응할 수 있는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5일 김포시의회에 따르면 이번 제6대 김포시의회 정원 10명 가운데 여성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신명순·자유한국당 염선 의원 2명뿐이며 이마저도 염 의원은 비례대표로 입성했다.
15일 김포시의회에 따르면 이번 제6대 김포시의회 정원 10명 가운데 여성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신명순·자유한국당 염선 의원 2명뿐이며 이마저도 염 의원은 비례대표로 입성했다.
이는 경기도내 기초의회 평균인 32%(현원 423명 중 135명)에도 못 미치고, 김포와 규모가 비슷한 인구 40만~45만명급 의정부(42%)·파주(38%)·시흥(45%)시의회와 비교하면 격차는 더 벌어진다.
하지만 지역정가에서는 6·13지방선거에 신도시 지역 출마를 고려하는 신 의원과 염 의원이 유리한 순번을 장담할 수 없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하지만 지역정가에서는 6·13지방선거에 신도시 지역 출마를 고려하는 신 의원과 염 의원이 유리한 순번을 장담할 수 없다는 기류가 흐르고 있다.
두 의원은 지역구 1석, 비례대표 1석이 늘어나는 김포시의회 선거에 출마 의사를 밝힌 각 당의 유일한 여성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분위기로는 양대 정당이 비례대표에 모두 여성을 공천한다고 가정해도 김포시의회 여성의원 비율은 최종 30%를 넘기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전문가들은 조직의 열세, 선거경험 부족, 유권자 인식 등 국내 정치 여건상 여성의 정계진출이 어려웠던 상황에서 국민의 대표성 보장 차원에라도 지역정당들이 여성 의석 비율 확대에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여성들이 현실정치에서 다양한 보육·여성·가족·문화 정책을 쏟아내야만 남성들의 삶의 질 향상과 일·가정 양립에도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 소장은 "도시화할수록 여성의 정치 참여에 우호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유권자 인식도 변화하는 게 세계적인 추세"라며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된 김포시의 경우 객관적인 조건은 무르익었는데 지역사회가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조직의 열세, 선거경험 부족, 유권자 인식 등 국내 정치 여건상 여성의 정계진출이 어려웠던 상황에서 국민의 대표성 보장 차원에라도 지역정당들이 여성 의석 비율 확대에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여성들이 현실정치에서 다양한 보육·여성·가족·문화 정책을 쏟아내야만 남성들의 삶의 질 향상과 일·가정 양립에도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김은주 한국여성정치연구소 소장은 "도시화할수록 여성의 정치 참여에 우호적인 여론이 형성되고 유권자 인식도 변화하는 게 세계적인 추세"라며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된 김포시의 경우 객관적인 조건은 무르익었는데 지역사회가 대응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지역을 구성하는 본질적인 두 그룹은 남성과 여성이므로 여성들은 지역구 30% 할당과 기초의원 '가'번 배치를 최소한의 권리로 요구할 수 있어야 하고, 지역정당도 먼저 문제의식을 느끼고 중앙당 지침대로 여성을 발굴·공천할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포/김우성기자 ws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