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인송도 송도컨벤시아 2단계사업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컨벤시아 2단계 시설 국비(임차료) 확보에 나섰다. 인천경제청은 송도컨벤시아가 경제자유구역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인 점 등을 들어 포괄보조금 개념의 생활기반계정이 아닌 특별보조금 성격의 경제발전계정에 2단계 임차료를 편성해달라고 산업통상자원부에 요구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9월 촬영한 2단계 시설 공사 현장 모습이다. 2단계 시설은 올해 7월 준공 예정이며, 올 2월 말 기준 공정률은 80.54%다. /경인일보 DB

국회가 BTL로 바꿔 승인 지원 약속
민간 건립 후 경제청 임차 사용 탓
국가 부담 임차료의 50% 요청하자
포괄보조금 까먹는 생활계정 제시
"경제구역 기반시설이라는 점 부각"
경제청 특별보조금 요구 설득 계획

2018040101000015600000963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과 관련해 국비(임차료) 확보에 나섰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건립사업은 1단계 시설 옆에 연면적 6만4천207㎡ 규모의 시설을 증축하는 것으로 올해 7월 완료될 예정이다. 2015년 12월 공사를 시작했으며 올 2월 말 기준 공정률은 80.54%다. ┃표 참조

2018040101000015600000962

2단계 사업은 BTL(임대형 민자사업) 방식이다.

민간 사업시행자 '더송도컨벤시아(주)'가 건립하면 인천경제청이 일정 기간 임차해 사용하게 된다. 인천경제청은 재정사업으로 2단계 사업이 추진되기를 희망했는데, 국회에서 BTL 방식으로 변경·확정됐다. 국회는 송도컨벤시아 2단계 사업을 BTL 방식으로 승인하면서 국비 지원을 약속했었다.

임차료의 50%를 국가에서 부담하기로 했다.

지난해 인천경제청은 송도컨벤시아 2단계 시설 임차료를 '지역발전특별회계 경제발전계정'에 편성해달라고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등에 요구했다.

하지만 이들은 '지역발전특별회계 생활기반계정'에서 2단계 임차료를 확보하라고 했다. 생활기반계정은 정부가 지역 발전을 위해 각 지자체에 주는 '포괄보조금' 개념이다.

반면 경제발전계정은 특정 사업을 위한 '특별보조금' 성격을 띤다. 생활기반계정에서 2단계 임차료를 확보하면, 그만큼 포괄보조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다른 사업들을 추진하는 데 차질이 생기게 된다.

송도컨벤시아 2단계 시설 임차 기간은 20년이다. 인천시와 정부는 매년 72억2천800만 원씩 더송도컨벤시아(주)에 줘야 한다.

인천경제청은 산업부, 기재부 등 중앙부처와 국회를 설득해 경제발전계정으로 2단계 시설 임차료(50%)를 확보할 계획이다. 송도컨벤시아는 경제자유구역 활성화를 위한 기반시설이다.

마이스(MICE) 산업의 핵심 시설로, '외국인 투자유치' '무역 증대' '일자리 창출' 등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

인천경제청 관계자는 "다른 도시에 있는 전시시설과 달리 송도컨벤시아는 경제자유구역에 위치한 시설"이라며 "국가 성장 동력인 경제자유구역의 시설인 점을 고려해 경제발전계정으로 지원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목동훈기자 mok@kyeongin.com